수학=최근 강조되는 핵심역량 중에서도 창의‧인성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그러다보니 수학과의 본질인 문제해결능력 향상 측면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럼에도 입시위주의 수학교육을 탈피하기 위해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노력한 출품작들이 많아 고무적이었다. 문제 수정‧보완 과정도 담았으면 과학=1년이라는 짧은 연구기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전후 결과 분석을 잘 한 점이 눈에 띄었다. 다만 연구 집단이 대체적으로 너무 작고 급별 인지수준에 맞는 맞춤형 활동지가 다소 부족했다. 또 소규모 연구로 그칠 것이 아니라 대집단 규모로도 확장‧적용해보고 문제점을 수정‧보완하는 과정까지 담는다면 일반화 할 때의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생활지도=현장에서 학습지도보다 생활지도가 더 어렵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줬다. 단순한 생활지도를 넘어 과학적 검사 도구를 통해 검증이 가능한 연구보고서가 많은 점이 바람직했다. 교육과정에 녹이려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 흔적이 보인다. 활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 있어야 외국어=공교육의 한계와 사교육의 폐해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많았고 교과서의 한계를 뛰어 넘기 위한 창의적인 연구물들이 눈에 띄었다. 아쉬
22일 제61회 전국현장교육연구발표대회가 열린 서울 서초구 서울교대 교정은 완연한 봄기운이 가득했다. 점심식사 후 교총이 마련한 무료 아이스크림 이벤트 덕분에 봄 햇살을 만끽하며 삼삼오오 이야기꽃을 피우는 선생님들의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이어진 오후 발표심사에서는 강의실마다 자리가 부족해 뒤에 서서들을 정도로 참관 교사들의 열기가 뜨거웠다. 현장서 우러나온 연구 ‘의미’ ◆발표심사=각 분과별 발표심사장에서는 우열을 가리기 힘든 연구 성과물들이 각축을 벌였다. 특히 현장 교육활동 중에 직접 필요성을 느껴 시작된 연구물이 대부분이어서 더욱 의미가 깊었다.‘담(談)쟁이 프로그램을 통한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 기르기’를 출품한 임나경 서울원명초 교사는 국어교과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는 듣기‧말하기 교육에 주목했다. 임 교사는 “요즘 학생들이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더욱 활발하게 교우관계를 유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공감’과 ‘소통’에 서투르다는 것을 깨닫고 연구를 시작했다”며 “교육과정을 재구성해 싹틔우기, 뻗어가기, 넝쿨돼 만나기의 세 단계로 구성해 배려와 공감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교육과정운영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