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나들이 시간, 모처럼 우리 아이들 손을 잡고 인천의 진산이라 불렸던 계양산에 올랐다. 우리 아이들은 산을 그다지 좋아하는 편이 아니라 계양공원 입구를 지나 한 10분쯤 올라갔을 때부터 ‘쉬었다 가자’란 말이 터져 나왔다. 그러나 산행 초반부터 쉴 수 없던 터라 계속 독려하며 걷고 있는데, 그 때 아이들의 눈에 잡힌 것이 좁은 길 사이사이에 떨어져 있는 ‘도토리’였다. 나도 산행을 그런 대로 해본 편이었으나 늘 사람들로 붐볐던 등산로로 걸었었고 관심도 없었던 터라 아직까지 산속에서 도토리를 본 적이 없었다. 교사와 학생들 모두 ‘우와’를 연발하며 도토리를 주으며 걸어갔다. 어느새 넓은 길은 없어지고 등산로는 아닌듯한 좁은 길이 나왔다. 근처에서 도토리를 줍고 있는 것 같은 아주머니께 길을 물으니 우리가 오르는 길도 맞다 하신다. 다시 뒤로 돌아 등산로를 찾아가기에는 너무 멀리 와버려서, 되돌아가자니 아이들 원망도 만만치 않을 것 같았다. 그래서 경아 선생님이 앞장서서 길을 찾기로 하고 좁은 길을 따라 올라갔다. 군데군데 막걸리 병이며 사람들이 머물렀던 흔적이 보여 우리의 걱정을 덜어주었다. 아이들은 그 와중에도 커다란 밤송이에서 알이 굵고, 벌레가 먹지
보름달이 두리둥실 떠오를 추석을 맞아 이번 달 요리활동 시간에는 추석 음식의 대표급인 송편을 빚었습니다. 그런데 역시 핵가족 사회이고 도시의 아이들인 만큼 추석에 가족들과 함께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송편을 빚어본 아이들이 적었습니다. 전날에는 아이들이 집에서 가지고 온 보리며 찹쌀이 섞인 쌀들을 실험하는 셈치고 물에 충분히 불려 두었습니다. 오늘은 불린 쌀을 넓은 바가지에 담아 아이들과 함께 동네 방앗간에 갔습니다. 아이들은 방앗간 기계가 덜컹거리는 소리를 내며, 쌀이 가루로 변하여 나오는 모양에서 무엇들을 찾는지 사진을 찍자고 해도 눈을 떼지를 못합니다. 어른들이야 오랜 경험을 통해 세상에 대한 호기심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지만 아이들에게는 여전히 새롭고 경험할 것 많은 것 같습니다. 어린 손님들은 잘 찾지 않는 방앗간이어서 그런지 주인 할아버지께서 좀 무뚝뚝해 보였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송편 소에 넣을 깨며 콩가루의 비율을 알맞게 가르쳐 주셔서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나왔습니다. 밀가루는 흔히 보아도 쌀가루 보기는 쉽지 않은 우리 아이들이라 그런지 할아버지께서 봉지에 담아준 쌀가루를 끊임없이 만지작거리며 학교로 돌아왔습니다. 찜통 속에 쌀가루를 부어주고
생태교실은 지역의 아이들 20여명 안팎이 참여하는 조그마한 행사지만 횟수를 더해 갈수록 조용한 알음알음을 통해 아이들은 늘 새로운 사람들과 마주하게 된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낯설음을 덜어주기 위해 공동체 놀이로 ‘인사’ 마당을 준비했다. 하지만 손을 잡기를 꺼려 하는 아이들의 주저함을 보면서 만남이 새로움과 더불어 가져다주는 어색한 시간을 어찌 없앨지에 대한 고민이 더해진다. 역시 아직은 깊고 따뜻한 마음을 품지 갖지 못하고 겉으로 반가움을 가장할 수밖에 없는 나의 미적지근한 마음탓인 듯하다. 아쉬운 마음을 거두고 솔안 공원에서 바위 선생님을 만나 이야기를 나눈 후 해바라기는 애벌레의 눈이 되고 나는 사진작가가 되기로 했다. 가벼운 한 장의 손수건으로 어둠에 갇힌 어린 아이들은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깜깜함을 싫어하는 나도 어린 시절 불을 켜고 자다가 어른들께 혼난 적이 많은지라 아이의 마음이 어렴풋이 다가오면서도 웃음이 나와 버리니 역시나 나는 장난기가 많은가 보다. 꽉 묶인 손수건 위로 세상을 보며 웃음을 짓는 아이들과 섞여 한 마리의 긴 애벌레가 땅에서 나왔다. 긴 애벌레는 처음 땅을 만나 많은 다리들을 어쩌지 못하고 앞으로 나아가지도 못했다. 하지만
욕실을 세 번이나 왔다갔다 했던 대서(大暑)날 아침 10시, 매월 넷째 주 토요일에 한 번씩 열리는 생태 교실 때문에 그렇지 않아도 좁은 30평 학교 건물이 송내동 아이들 열세 명에 의해 점령당했다. 다섯 명의 아이들과 늘 생활하다 보니 아이들 머리가 열만 넘어도 웃고 떠드는 소리에 정신이 없다. 학교 앞, 우리의 운동장이라 할 수 있는 송내 어린이 공원에서 생태학습을 이끌어주실 바위 선생님과 아이들이 정중히 인사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처음 만난 기념으로 사진 한 컷을 찍고 느릿느릿 성주산으로 향했다. 성주산에서 우리를 가장 먼저 반긴 것은 아이들 예닐곱은 들어갈 만한 넓은 그늘을 드리우고 있는 나무였다. 바위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아이들은 스스로 그 나무에 자신들의 이름을 붙여 볼 기회를 얻었다. 엘리베이터 나무, 다층 나무 등 창의적이고 다양한 이름이 나왔다. 하지만 바위 선생님이 ‘층층나무’라는 정식 명칭을 알려주자 아이들은 자신들이 붙였던 개성 있는 이름을 서슴없이 기억 저편으로 던져버리며 층층나무를 머리에 기억하는 것 같았다. 산에서 만나면 인사를 나눠야 한다는 산 예절을 알려줬지만, 아이들은 쑥스러운지 산을 오가는 주민을 마주치면 비켜서기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