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대> 이제는 ‘CSO’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CEO(Chief Executive Officers, 최고경영자)는 적자에 허덕이는 기업에 인원감축, 구조조정, 효율성 강조 등 여러 수단을 강구하여 단기간에 흑자로 전환시키는 마이더스의 손을 가진 사람처럼 여겨지곤 한다. 교육활동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이를 항상 찝찝한 단어처럼 느끼는 것은 나만의 바보 같은 생각일까. 신자유주의의 개념에 의한 ‘수요자 중심’, ‘다품종소량생산’ 등의 경영학 용어가 학문 간의 벽을 허문다는 미명 하에 교육학 쪽에서도 그 사용이 아주 자연스러워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는 CSO(Customers Satisfaction Officers, 고객만족책임자)라는 용어가 훨씬 교육적 측면에서 적절한 용어일 것이다. 어느 대기업 사장이 6개월 동안 바텐더의 칵테일 만드는 묘기를 연습해 크리스마스 축제 당일 그의 ‘고객’인 직원들 앞에서 엄청난 박수갈채를 받았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학교 교장의 고객은 교감을 비롯한 교사, 행정실 직원,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이다. 교장이 CSO로서 해야 할 일들을 생각해 보자. 첫째, 소위 참모회의라는 이름으로 매일 이루어지는 교감, 행정과장과의 모임부터 탄력적
- 옥영호 부산 초량초 교장
- 2006-07-06 1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