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대로 공기를 불어 넣으니 풍선처럼 부풀어 올랐어요. 옛날에 돼지 방광을 불어서 축구공으로 사용했다는 말이 이제야 실감 나네요” 양촌중학교 2학년 공경환 학생은 빨대로 바람을 불어 넣어 보고 방광이 크게 부풀어 오르자 수뇨관으로 바람이 빠져나가지 않는 것도 정말 신기하다며 인체의 구조는 정말 신비하다고 덧붙였다. 인천시교육청이 주최하고 서부중등과학교과연구회와 가정여자중학교가 주관한 'FUN! FUN! 과학캠프'는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서부교육청 관내 중학교 2학년 39명을 대상으로 가정여자중학교 과학실과 대덕연구단지, 한국식품연구원에서 진행되었다. 과학캠프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해볼 수 없는 흥미 있고 다양한 과학실험과 과학마술, 국립중앙과학관, 한국지질박물관, 한국식품과학연구원 탐방으로 구성되었다. 각 학교에서 과학에 학습 성취도가 높고 이공계 진학을 꿈꾸는 학생들 가운데 1~2명이 선발되어 구성된 이번 캠프는 학생들의 과학적 호기심을 충족시켜주었을 뿐 아니라 이공계 진로지도에 주춧돌 역할을 하였다. “와! 정말 신기해요. 우리 집 쌀보다 더 쌀알이 투명하고 고운 것 같아요. 쌀 한 번 먹어 볼래요.” 인천 불로중학교 김수연 학생이 신기한 듯
“와! 정말 신기하네요. 전구의 필라멘트 모양이 거꾸로 보이네요. 가까이 할수록 점점 더 크게 잘 보여요.” 선생님들은 간단히 만든 바늘구멍 사진기를 스탠드 전구에 가까이 가져갔다가 멀리했다가 하면서 처음 해보는 실험처럼 신기해하였다. “빛의 직진 현상을 실험해봅시다. 종이에 삼각형 모양을 오려내고 빛을 비추면 스크린에는 어떤 그림자가 나타날까요?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번호판을 들어보세요. 네, 자신과 다른 색의 종이를 들고 있는 선생님을 찾아서 서로의 생각을 토론해 보세요. 토론하는 과정에서 선생님들은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교원대 물리교육과 김중복 교수는 '2011 과학교사테마별 전문연수'에서 빛의 원리와 수업에 활용하는 다양한 실험소개하고, 초·중·고 교사들의 오개념을 과학적 개념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을 선보였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이 주최하고, 서부중등과학교과연구회와 가정여자중학교에서 주관한 2011 과학교사 테마별 전문연수 '2% 채워주는 과학실험연수'는 지난8일부터 3일간 가정여자중학교 에디슨실과 아침고요수목원에서 열렸다. 인천시 초·중·고 과학교사 32명이 한자리에 모여 과학수업에 활용하는 마술을 배우고, 빛의
“아빠가 로켓이 원안에 떨어지도록 각도를 잘 조절해 볼께. 높이 뛰어서 힘껏 밟아보렴!” 인천 효성동초 이성빈 아버지는 아들과 함께 OHP 필름을 이용하여 만든 에어로켓을 발사하면서 긴장되기도 하지만 아들이 신나하는 모습을 보니 저절로 기분이 좋아진다며 환하게 웃는다. 인천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교육장 김광범)은 지난 4일 오후2시부터 서부학생체육관에서 제8회 서부가족발명놀이마당을 개최하였다. 서부가족발명놀이마당은 가족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다양한 발명 공작품을 만들고 경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가족간의 사랑과 협동심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었다. 명현중 김도형 학생은 “진동탐사선을 만들면서 어떻게 하면 탐사선이 진동을 잘하면서 빨리 달릴 수 있을까, 아빠가 탐사선의 무게를 가볍게 하라고 말씀해주면서 도와주셔서 잘 만들어진 것 같아요”하면서 혼자 만들 때 보다 아빠와 함께 만들어서 30초 안에 도착한 것 같다고 좋아 했다. 또 함께 참여한 부모님은 아들이 중학교에 다니면서 대화할 시간이 부족했는데 대회에 참여하면서 모처럼 아들과 함께 주말을 보내게 되어서 정말 좋았다고 전했다. 초, 중학생 300여 가족이 참가한 서부가족발명놀이마당은 카프라를 이용한 구조물 제
교육의 목적은 가치 있는 것을 의도적으로 가르치는 것으로 학생들에게 세상을 보는 안목을 키워줘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교육은 학업평가를 위한 비틀어진 교육, 입시에서 살아 남기 위한 과도한 경쟁교육으로 학생들의 정신을 황폐화하고 있다. 이처럼 교육의 본질을 잊고, 극도의 개인주의와 경쟁사회에서 한 줄 세우기에만 급급한 우리 교육이 빚어낸 폭행 사건들을 보자. 서울시에서는 학부모가 교실에 들어와 학생들이 보는 앞에서 교사에게 폭언과 폭행을 하였고, 인천시에서는 교사가 학생을 폭행하는 사건이 최근에 발생하였다. 또 제주시에서는 학생이 교사의 머리를 잡고 다리를 차고 밟는 폭행사건이 있었다. 교육의 현장에서 이처럼 폭행사건이 자주 일어나는 원인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로 교권의 실추를 생각할 수 있고, 둘째로 교사의 인성과 전문성으로 대변되는 교사의 자질을 말할 수 있다. 셋째로 학생과 학부모의 교사에 대한 시각의 변화로 교사에 대한 신뢰의 저하와 내 자녀 이기주의가 있다. 추락한 교권을 제자리에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교과부 차원에서 교원의 처우 개선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또한 교권 침해 관련 교원행동 매뉴얼을 제작·배포하고, 학교와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