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순범 충북 진천여중 교사는 최근 과학탐구활동 활성화와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한 공으로 제4회 올해의 과학교사상(과학문화부문)을 받았다.
2007-01-08 15:05◇부서장 △경영기획실장 서영석(徐永錫) △교육정보화센터소장 한태명(韓泰明) △국가지식정보센터소장 조순영(曺順英) △교육행정정보센터소장 이용효(李鏞孝) △국제협력·연구센터소장 손병길(孫炳吉) △시스템지원부장 정성무(鄭城武) △행정지원부장 원문호(元文鎬)
2007-01-03 14:56기획혁신처장 신성균 □ 교육평가연구본부장 남명호 □ 전산정보센터장 김경훈) □ 혁신위원회위원장 정구향 □ 혁신관리부장 조용웅 □ 문제은행연구부장 이창훈 □ 수능운영부장 연근필 < 1월1일자 >
2007-01-02 15:44EBS(사장 구관서)는 12월 31일자로 간부급 인사를 실시했다. [승진] ▲ 김재근(金載根) 정책기획센터장 ▲ 김봉렬(金奉烈) 정책기획센터 홍보팀장 ▲ 김재석(金載錫) 영상아트센터 그래픽팀장 ▲ 여운길(呂運吉) 영상아트센터 스튜디오․중계영상팀장 ▲ 조기호(趙起鎬) 경영지원센터 인사법무팀장 ▲ 김병수(金柄洙) 제작본부 시사통일팀장 ▲ 김 민(金 民) 제작본부 어린이청소년팀장 ▲ 전병종(全炳鍾) 기술본부 기술기획팀장 ▲ 김석태(金錫兌) 기술본부 영상기술팀장 ▲ 강순도(姜淳道) 기술본부 라디오기술팀장 ▲ 황성환(黃盛煥) 콘텐츠사업본부 e-러닝제작팀장 [전보] ▲ 김이기(金利基) 시청자참여센터 심의평가팀장 (시청자참여센터 우리말연구소 부소장 겸직) ▲ 김정기(金正基) 정책기획센터 정책팀장 ▲ 심효무(沈孝茂) 편성센터 편성기획팀장 ▲ 오정석(吳丁錫) 제작본부 유아교육팀장 ▲ 손홍선(孫洪宣) 콘텐츠사업본부 문화사업팀장
2007-01-02 14:20“젊은 교총, 힘있는 교총을 만들어 교직사회의 구심체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김동건 대전교총 신임회장은 대전교총을 보다 강력한 조직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를 위해 먼저 젊은 교원을 적극적으로 영입하는데 주력하겠다고 그는 말했다. 조직력 강화를 위해서는 회세 확장이 우선돼야 하기 때문이다. 김 회장은 또 회원의 전문성 향상과 조직의 응집력 배가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개발하겠다는 계획도 피력했다. 교원권익보호 및 처우개선 등 목적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임한다는 각오다. 특히 교권보호를 위해서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어떠한 경우라도 교권이 침해되어서는 안됩니다. 교권침해에 대해서는 적극 대처해 선생님들이 마음놓고 교단에 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 회장은 장기과제로 임기중에 회관 건립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겠으며, 대전교총 발전을 위한 토대도 구축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중등학교교사, 전문대교수, 대학교수 등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현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겠다는 그는 투명하고 합리적인 행정에 기초해 조직을 이끌어나겠다고 약속했다. 김회장은 지난달 대전교총역사상 최초로 치러진 전회원직선에서 51.8%의 득표율로 당선됐으며, 한밭중 교사, 청주
2007-01-02 10:23“조직 활성화를 통해 교총조직의 원동력이 되도록 하겠으며,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고 홍보함으로써 한국교총의 이미지를 격상시키는데 일조하겠습니다.” 한국교총의 양대 직능조직 중 하나인 중등교사회의 조타수를 맡게 된 김병선 회장(부산사직고 교사)은 조직력 강화를 최우선과제로 내세웠다. 중등교사회가 창립된 지 6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는 조직의 이름값을 하기에는 부족함이 많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그 원인의 하나로 김 회장은 조직력 약화를 꼽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직의 응집력 강화에도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김 회장은 “아직까지 결성돼 있지 않은 일부 시․도 조직결성을 적극 추진하고 이를 통해 회세 확장을 꾀하겠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교사들의 피부에 와 닿는 현안들을 조직활동의 의제로 적극 반영해 회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주력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회원들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정책 활동도 조직력을 약화시키는 한 원인이라고 분석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교사들 모두가 의무를 성실히 수행하면서 권익을 보장받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김 회장은 조직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회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우
2007-01-02 10:22▲혁신기획조정실장 이용순 ▲인적자원정책연구본부장 진미석 ▲고용ㆍ능력개발연구본부장 나영선 ▲직업교육ㆍ산학협력연구본부장 정태화 ▲자격연구본부장 서준호 ▲직업진로정보센터소장 한상근 ▲이러닝센터소장 김선태 ▲국제협력센터소장 강종훈 ▲경영지원실장 황흥배 ▲전략정보팀장 이상돈
2007-01-02 10:15△ 기획처 : ▴ 연구기획실장 김이경(金二敬) ▴ 예산기획실장 장인식(張仁植) ▴ 정보자료지원실장 전인식(全仁植) △ 초·중등교육연구본부 : ▴ 교육제도연구실장 강영혜(姜榮惠) ▴ 교원연구실장 박영숙(朴永菽) ▴ 학생·학부모연구실장 박효정(朴孝貞) △ 평생·고등교육연구본부 : ▴ 고등·성인교육연구실장 최상덕(崔相德) ▴ 인적자원연구실장 홍영란(洪瑛蘭) ▴ 입시제도연구실장 김미숙(金美淑) △ 교육통계·평가연구본부 : ▴ 기관평가연구실장 정택희(鄭鐸熙) - 교육통계·평가연구본부장 겸임 ▴ 교육조사연구실장 김양분(金良粉) △ 사무국 : ▴ 총무·인사실장 고경숙(高京淑) ▴ 재무회계실장 임승호(任勝浩) ▴ 시설관리실장 지기섭(池基燮) △ 검사역 : 김우종(金宇鍾)
2007-01-02 09:15음악 줄넘기를 보급한 초등학교 교사가 신지식인으로 선정됐다.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교육분야 신지식인으로 선정돼 28일 장관상을 받은 경북 성주의 중앙초등학교 김동섭(46) 교사는 줄넘기 전도사로 잘 알려져 있다. 대구교대와 한국교원대 대학원을 졸업한 뒤 1988년 교직에 입문한 김 교사는 1996년 구미 대방초등학교에 근무하면서 음악 줄넘기 보급에 나섰다. 학생들의 체력 저하와 비만 확산을 우려하던 김 교사는 당시 우연찮게 음악 줄넘기를 접한 뒤 학생들에게 반드시 가르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음악 줄넘기 자체가 널리 알려져 있지 않았던 때여서 김 교사는 다른 나라의 동영상을 어렵게 구해 보며 연구를 거듭한 끝에 다양한 동작을 엮어 현재의 음악줄넘기를 개발했다. 음악 줄넘기는 단순한 줄넘기에서 벗어나 음악에 맞춰 동작을 다양화해 지치지 않고 재미있게 운동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김 교사는 이후 학교를 옮길 때마다 음악 줄넘기를 보급했고, 2002년부터 성주 중앙초등학교에 근무하면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으로 음악 줄넘기부를 만들어 전파에 힘을 쏟고 있다. 중앙초등학교 학생 가운데에서도 20명으로 구성된 음악 줄넘기 시범단인 꿈도리는 지난해 말
2006-12-28 19:51정강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최근 열린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회에서 임기3년의 원장에 재선임됐다.
2006-12-27 1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