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할 때 ‘학교 교육을 통해서 길러야 할 가장 중요한 능력이 무엇일까요?’라고 질문합니다. 학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교육활동을 찾고자 하는 질문이며, 학교 교육의 우선순위를 정하려고 던지는 질문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답은 ‘언어 능력 향상’입니다.
언어 능력은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능력을 말합니다. 인간만이 가진 이 능력으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자신을 표현하고, 기록하여 남기며, 다른 사람이나 후세에 전하며 살아갑니다.
가장 좋은 듣기 활동, 책 읽어주기
듣기는 가장 기본적인 언어발달의 도구이자 방법입니다. 임신 6개월 정도가 되면 엄마의 뱃속에서 듣기 중추가 완성돼 들을 수 있다고 합니다. 엄마의 소리는 엄마의 몸 울림을 통해서 들을 수 있고, 공기를 통해서도 들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듣기를 통해 언어발달이 시작됩니다. 아이가 태어나면 엄마(음마), 아빠, 까까, 맘마 등의 쉬운 말, 많이 들은 말을 입으로 소리내기 시작합니다. 듣기를 통한 말하기의 시작이죠. 언어생활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말하기는 듣기와 연결돼 있습니다. 듣기를 잘해야 말하기도 잘할 수 있습니다. 듣기로 시작된 언어발달이 말하기로 연결되고, 글자 읽기로 이어지고, 글을 쓸 때 도움이 됩니다. 가족들과 대화하면서 말하기 능력이 발달 됩니다. 자연스럽게 망설임 없이 말로 표현하고, 드러낼 수 있어야 합니다. 토의‧토론 능력은 약간의 형식과 절차를 갖춘 말하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을 잘하기 위한 또 하나의 요소가 있다면 자존감입니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는 대화나 토의‧토론을 잘할 수 있습니다.
듣기로 언어(단어)가 발달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초등학교가 끝나는 시기인 약 12살 정도까지 지속됩니다. 물론 그 뒤에도 듣기를 통해 언어(단어) 발달이 이어지기는 하나 점점 ‘읽기’가 그 자리를 차지합니다. 그렇더라도 이런 지속적인 듣기는 ‘잘 들을 수 있는 능력(듣기능력)’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가장 좋은 듣기 활동은 무얼까요? 당연히 책 읽어주기입니다. 엄마, 아빠, 가족, 주변 사람들의 목소리를 들려주는 일도 중요합니다. 이런 대화를 통해 듣기 능력이나 언어 능력이 발달합니다. 하지만 책 읽어주기만큼은 아니죠. 책 읽어주기는 대화와 책 읽기의 장점이 아이들에게 전해집니다. 책 읽어주기는 문자 언어(책에 쓰여 있는 글자)를 음성언어(소리)로 바꿔주는 활동입니다. 그 과정에서 문자 언어가 음성언어와 연결돼 있으며, 이 두 가지는 ‘같은 것’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알게 됩니다. 읽기 위한 준비를 자연스럽게 하며, 의미 있는(들어야 하는, 들으면 유익한) 음성 신호를 듣는 훈련이 됩니다.
즐겁고 편안하게 읽어야
일반적으로 읽기는 학교 교육이 시작되는 7세 무렵부터 시작돼 12세 무렵까지 서서히 발달하다가 12세부터 17세까지 급격하게 발달합니다. 물론 이런 내용은 일반적인 경향일 뿐입니다. 사람마다 다 다릅니다. 개인의 언어적 경험이나 태어날 때부터 타고나는 언어적 특성의 차이에 의해서 다르게 발달합니다. 하지만 확실한 건 ‘듣기로 시작하고 읽기로 언어발달이 완성된다’라는 사실입니다. 읽기를 통해 단어, 문장을 익히고, 깊고 풍요로운 문장의 아름다움을 알고, 이야기의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합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기쁘고, 즐겁고, 편안하게 읽을 때’ 그리고 종이책을 읽을 때 가장 좋은 언어발달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초등학교 고학년까지 꾸준히 종이책을 읽는 활동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쓰기는 또 다른 영역입니다. 이전 활동으로 습득된 언어 능력에다 꾸준히 써보는 노력이 더해져야 잘 쓸 수 있습니다. 책을 좋아하고 잘 읽는 사람은 글을 잘 쓸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고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당연하게 글을 잘 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훈련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나의 삶을 기록하는 글인 ‘일기’를 쓰는 것은 가장 좋은 글쓰기 훈련입니다.
그동안 연재하면서 책을 읽어줘야 한다는 내용을 반복해서 강조했습니다. 단순하게 보이는 책 읽어주기가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굉장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요. 아울러 가정에서, 학교에서 책을 읽어주며, 책을 읽자고 꾸준히 이끌어 주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저는 오늘도 ‘얘들아, 함께 읽자!’라고 손 모아 외치며 ‘책을 읽어주자!’라고 말합니다. 그래야 ‘책 읽는 국민, 책 읽는 나라’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