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1일 오후. 창원 대방초등교(교장 진달출) 급식소 창틈으로 간간히 웃음이 흘러나왔다.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을 마주한 할머니, 할아버지는 오랜만에 지친 표정을 털어버리고 새로 생긴 ‘자식’ ‘손주’들과 잡은 손을 놓지 않았다. 이 학교가 추진 중인 ‘행복한 가족 만들기’가 결실을 맺는 순간이었다.
“때만 되면 이어지는 형식적인 성금 모금 등으로 아이들이 감동을 느낄 수 있을까요? 소외된 사람들과 기쁨과 슬픔을 함께 느낄 수 있어야 더불어 살아가는 자세를 제대로 배울 수 있지요.”
진달출 교장은 이 학교가 전개하고 있는 ‘행복한 가족 만들기’의 추진 배경을 이렇게 설명했다. 관행처럼 이어지던 성금 전달을 탈피해 교사, 학생, 학부모가 몸과 마음으로 그들과 함께해야만 제대로 된 인성교육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시작은 지난해 9월 가을운동회로부터 비롯됐다. 운동회의 주제로 ‘어려운 이웃을 생각하는 운동회’를 정하고 관내 노인들을 초청해 잔치를 벌인 것을 계기로 이웃 사랑을 통한 인성교육을 추진키로 했다.
11월 들어 평소 가족이나 동아리별로 봉사 활동한 실천사례를 공모하면서 운동은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전교생이 어려운 이웃을 내 가족처럼 생각하며 사랑을 나누는 편지 쓰기에 참여했고 쌀 한줌 모으기 운동도 펼쳐 1200kg을 모았다. 외로운 노인들을 초청해 위안 잔치도 마련했고 그분들의 겨울철 먹거리 해결을 위해 200kg의 김치도 담가 드렸다. 학생문예 공모전을 개최해 시상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날 홀로 사는 노인 22명을 선정해 학부모 10명, 학생 40명, 교사 12명이 가족 결연을 맺기까지 이르렀다. 학교에 들른 노인들에게 가족 결연증과 성미 20kg, 기타 성품 등이 전달됐다. 가족으로 맺어진 이들은 앞으로 노인들을 수시로 방문해 근황도 살피고 경제적인 지원도 하게 된다.
진 교장은 “학교교육도 지식중심 교육에서 지혜교육과 인성교육으로 무게중심을 옮겨야 한다”며 “참여하고자 하는 학부모, 교원, 학생이 늘어가고 있는 만큼 이 운동이 사회 운동으로 널리 확산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대방초등교의 '이웃과의 벽 허물기'는 이것만이 아니다. 이 학교엔 ‘지사나’라는 독특한 모둠활동이 있다. ‘지사나’는 지혜, 사랑, 나눔을 줄인 말. 2학년부터 6학년까지 3~5명의 학생들이 ‘지사나’ 모둠을 구성하고 각 모둠별로 방과 후에 모임을 가진다. 이 자리에는 ‘봉사어머니’가 함께 하게 되고 독서활동이나 박물관 견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된다. 고급 유휴인력을 활용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키워주고 학생들간의 협동 의식도 키워주게 되는 셈이다.
학생들 집을 돌아가며 방문해 이웃 간의 정도 쌓고 학교소식에 대한 자연스런 공유도 이뤄진다. 모둠에 참여한 학생의 학부모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는 것이 학교측의 설명이다.
화성원 교무부장은 “학생간이나 이웃 간의 벽을 허물고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 시행된 우리 학교만의 자랑”이라며 “봉사어머니의 적극적인 참여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은 물론 올바른 인성 함양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