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 구름조금동두천 -3.8℃
  • 맑음강릉 -2.5℃
  • 맑음서울 -4.1℃
  • 구름조금대전 -3.2℃
  • 구름조금대구 -0.3℃
  • 맑음울산 0.5℃
  • 광주 -4.0℃
  • 구름많음부산 2.2℃
  • 흐림고창 -6.2℃
  • 구름많음제주 3.4℃
  • 맑음강화 -5.1℃
  • 구름많음보은 -4.1℃
  • 구름많음금산 -3.4℃
  • 구름많음강진군 1.0℃
  • 맑음경주시 0.0℃
  • 구름조금거제 2.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한국 AIDT 완성품 첫 공개 ‘세계적 관심’

지난달 영국 런던 뱃쇼 개최
한국관서 공개에 이목 집중
사우디·태국 등 도입 문의도

업체들 “교과서 지위 아쉬워…
조속히 해결돼야 안정성 확보”

 

국제 에듀테크 박람회에서 우리나라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완성품이 세계 최초로 모습을 보이자 전 세계인이 주목하고 있다. 일부 국가로부터 한국의 AIDT에 대한 자국 학생 제공 여부 등 문의가 들어와 ‘K-에듀’ 수출의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교육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22~2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엑셀센터에서 열린 에듀테크 국제 박람회 ‘벳쇼’(BETT Show)를 찾은 전 세계 교육 관계자들이 한국의 AIDT에 관심을 보였다. ‘BETT Show’는 ‘British Educational Training and Technology Show’를 줄인 말로 세계 최대 규모의 에듀테크 박람회로 통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4개 부스 규모(35㎡)의 한국관을 공동으로 꾸려 절반 정도를 AIDT 해외 홍보에 활용했다. 정부 측은 ‘500만 명의 학생에게 500만 개의 교과서를’ 이라는 홍보 문구를 내걸었다. AI를 통한 학생 개별 맞춤형 학습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올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는 완성본이 공개되는 만큼 해외 진출 등 지원에 나섰다.

 

지난해 검정을 통과한 천재교육, 금성출판사·팀모노리스, 비상교육·엘리스 등이 벳쇼에서 교육 현장에 적용되는 완성본을 공개했다. 지난해 벳쇼에서 시제품까지만 전시한 만큼 완성품으로의 진화 과정은 외국 관계자에게 흥미로운 대목이다. 비상교육의 통합수업 플랫폼 기술은 벳쇼의 결선작인 ‘파이널리스트’ 명단에 오르기도 했다.

 

이들 3사의 AIDT 시연장에 유독 각국 정부 관계자들의 방문이 잦았다는 후문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사우디아라비아 교육부 관료, 태국 정부 관계자 등이 한국의 AIDT를 자국의 공교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지 문의했다”고 말했다.

 

AIDT 업체들은 현지 최적화 작업만 잘 이뤄지면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해외 에듀테크 업체들은 AIDT가 콘텐츠 중심인 만큼 자국이 보유한 기존 플랫폼 기술을 접목하는 등 여러 사업 모델에 대한 제안을 주고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업체는 국내의 불안정한 상황 때문에 해외 진출에 더욱 힘쓰고 있다. 올해 전면 도입을 앞두고 불거진 교육자료 격하에 따른 불안감으로 AIDT에 몰두하기보다 다른 신기술을 앞세워 해외 진출을 노린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비상교육은 교육부가 마련한 AIDT 전시 공간 외에 부스를 한 곳 더 운영했다. 비상교육 관계자는 “AIDT보다 수출용으로 만든 통합수업 플랫폼 홍보에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AIDT 교육자료 격하 법 개정을 주도한 야당은 정부의 재의 요구와 관련해 표결 절차 일정을 잡지 않고 있어 장기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AIDT 지위 문제가 조속히 마무리돼야 교육 현장이 안정될 수 있다”며 “사실상 교과서 지위 유지를 전제하에 일정을 소화하고 있지만, 현장에서의 불안감은 좀처럼 풀리지 않아 조율이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