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총과 전교조, 한교조 등 교원3단체는 4일 교육부를 방문, 교원평가를 9월중에 시범실시키로 했다는 교육부총리의 3일 발언에 대해 항의하고, 사과를 요구했다.
이원희 한국교총 수석부회장은 “협의회를 통해 모든 사항을 논의하기로 해놓고 교육부가 언론에 일방적으로 교원평가를 언급하는 것은 협의회를 들러리세우겠다는 의도가 아니냐”고 따지고 “교육부의 협의회에 대한 인식이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이 수석부회장은 또 “합의되지 않은 사항을 설명한 것은 명백히 합의체 정신을 어긴 것”이라며 “부총리와의 면담을 통한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이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유영국 학교정책심의관은 “부총리께서도 보도된 내용이 의도한 바와 다르다고 이야기했고 교육부도 정정보도 요구 등 보도사항에 대한 조치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 수석부회장은 그러나 "의도가 달랐더라도 국민과 교사들에게 어떻게 알려졌느냐가 중요하다"며 "교육부의 명확한 해명과 사과가 이뤄진 후에야 협의회의 향후 일정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원 3단체 대표들은 5일 오전 교육부총리와 면담을 갖고 부총리의 직접 해명과 사후 조치를 직접 요구키로 했다.
교원 3단체는 항의 방문 후 성명서를 내고 “논의가 진행 중인 의제에 대해 합의도 없이 특별협의회 참여주체가 아닌 교육관련 NGO 대표들에게 9월 실시 등을 발표해 혼란을 주는 것과 같은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약속할 것”을 요구했다.
3단체는 또 “교육부가 교원단체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NGO 대표들과의 면담 등을 통해 밝힌 것처럼,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한 의제를 특별협의회의 합의를 통한 접근보다는 9월 실시를 강행하고자 하는 뜻으로 받아드릴 수밖에 없다”며 “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교육계의 혼란과 갈등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교육부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교육부는 4일 해명자료를 내고 “언론에서 교원평가 시범실시를 9월중 강행하고 부적격 교사 대책도 9월1일부터 실시한다고 보도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며 “부적격 교원 대책과 교원평가를 포함한 학교교육력 제고 시범사업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특별협의회 협의를 거쳐 9월중 실시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