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일반직 위주의 직제 개편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교육전문직의 숫자가 90년도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축소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부는 장학관이 이끄는 학교현장지원팀(과장급)을 국장급인 교육정책현안추진단으로 격상시키고, 산하에 초등영어교육활성화팀과 방과후학교현장개선팀을 신설한 후 16일 일반직 과장 2명을 발령했다.
당초 교육부는 전문직 보임자리인 교육정책현안추진단과 학교정책실 3개 과(초중등교육과, 교육과정정책과, 과학실업교육정책과)도 일반직 보임 가능한 복수직으로 개편할 계획이었으나 교총 항의로 없던 일로 했다.
한편 교육부내 전문직 숫자와 비중은 매년 축소돼, 지난해는 90년도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90년 12월 교육부(당시 문교부) 전체 534명 중 교육전문직 숫자는 133명, 일반직은 287명이었으나 지난해 2월에는 전문직 82명, 일반직 335명으로 파악됐다.
전체 정원(정무, 별정, 기능직 포함)은 90년 534명에서 2005년 492명으로 42명, 전문직도 51명 줄었지만 일반직은 되레 48명 늘었다.
복수보임이 가능한 부교육감도 90년 말까지만 해도 전문직과 일반직 비율은 8대 8이었지만 지금은 경기제2부감만 전문직으로 보임돼,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교육부 한 전문직은 “김진표 부총리 취임 이후 전문직 홀대가 심화돼 일할 의욕이 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