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학년도 대입전형이 학생들을 내신, 수능, 논술에 모두 대비해야 하는 소위 '죽음의 트라이앵글' 속으로 몰아넣고 사교육시장의 덩치만 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성균관대 현선해 입학관리처장은 22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최로 열린 교육평가체제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에서 '대학의 신입생 선발에서 수능의 활용'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렇게 주장했다.
그는 "국가주도고사와 대학별고사, 고교내신의 상관관계에서 균형추는 이제 고교 내신으로 기우는 듯 하다"며 "대학의 신입생 선발에서 내신 비중이 높아진다면 교육의 관심축이 교실 안으로 이동할 것이며 고교 교육의 정상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긍정적 측면보다는 부정적 측면에 대한 우려가 큰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현 처장은 "내신성적을 올리기 위한 과열경쟁은 교사에 대한 존중은 배양했을지 모르나 학우에 대한 배려는 사장시킬 우려가 있다"며 "교육이 인격의 도야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분면 정상화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현 처장은 또 "수능이 대학교육 수학에 기초적인 학력을 측정하는 수단인 한편 실질적 측면에서 대학의 구성원을 선별하기 위한 도구로써 기능해 왔다"며 "그러나 총점제에서 영역별 점수제로 변화 그리고 2008학년도 이후 등급제 도입은 대학 신입생 선발의 절대적 가치로서 수능의 지위를 상당부분 약화시켰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수능의 변별력 약화는 대학 입장에서 전국 단위에서 동일한 기준으로 학생을 평가할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자 합격자와 불합격자를 가르는 효율적인 사정 도구를 상실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현 처장은 "한국의 대학입시제도는 끊임없이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학벌숭배, 공교육의 붕괴와 사교육의 비대화, 청소년 삶의 황폐화라는 악습을 타파하지 못했다"며 "사정의 칼날을 고교에 넘기거나 논술가이드라인이나 점수를 제공하지 않는 수능 등급제 등으로 대학의 손발을 묶고 눈을 가리는 것은 이런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뿐"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