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어교과서의 변천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한글 560년, 국어교과서 100년전'이 한글날인 9일 경기도 안양시 석수2동 '스톤앤워터' 전시장에서 열린다.
14일까지 계속될 이번 전시회에서는 시인이자 건축가인 김운기(52.안양시 검도협회장)씨가 20여년 동안 수집한 국어교과서 270점이 소개된다.
최초의 근대 교과서가 만들어진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미 군정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급 학교 국어교과서가 시대별로 전시돼 100년 동안 우리 국어교과서가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교과서이자 대한제국 마지막 교과서인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대한제국 학부 편찬)으로 1906년 모두 3권짜리로 발행된 뒤 1909년 5판으로 사라졌다.
김씨가 소장하고 있는 국어독본은 1909년판 제2권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바로는 이 한 권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일제가 민족정기 말살 차원에서 1911년, 1922년, 1938년 3차에 걸쳐 조선교육령을 내려 일본어를 국어로, 한글을 제2외국어로 만들어 버리면서 발간한 조선어독본 12종과 고등 조선어 및 한문독본, 중등 조선어 및 한문독본 10종이 모두 선보인다.
이밖에 1945년 해방과 함께 한글학회가 발간한 한글 첫걸음, 미 군정청이 1947년 만든 초등국어교본(상.하), 올해까지 발간된 초.중.고교 및 대학 국어교과서, 조선시대 3대 음운서(화동정음통석.삼운통고.규장전운)를 포함해 조선시대에 발간된 각종 음운서 및 수신서류 20여권도 볼 수 있다.
화동정음통석은 1747년 초간본이 발행돼 범례와 말미에서 한글에 대한 고찰을 담아 국어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국내에 몇 권 남아 있지 않은 희귀본이며, 이번에 전시되는 것은 1787년판이다.
교과서에 등장하는 어린이의 이름과 한글 교육방법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롭다.
국어독본에는 복동이와 순만이가, 한글 첫걸음과 초등국어교본에는 창근이와 일남이, 영길이, 순이, 준선이가 각각 등장하고 철수와 영희는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문교부가 발행한 최초의 국어교과서 철수와 바둑이(국어 1-1)에서 비로소 선을 보인다.
특히 한글 첫걸음은 자.모음의 모양과 이름, 순서부터, 철수와 바둑이는 '바둑아, 이리 와'라는 문장부터 각각 공부하도록 되어 있는 등 한글 교육방법이 각각 다르다.
김씨는 "우리의 혼이 담긴 국어교과서들이 무게로 달아 고물로 팔리는 현실이 너무 안타까워 수집을 하게 됐는데 지금도 제대로 된 도서목록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며 "이번 전시를 계기로 국어교과서 박물관을 만드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