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살맞다’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하는 짓이나 말 따위가 얄밉게 잘고 다랍다’고 쓰여 있다. 설명에 나오는 ‘다랍다’는 ‘때나 찌꺼기 따위가 있어 조금 지저분하다, 언행이 순수하지 못하거나 조금 인색하다’는 뜻의 형용사다. 우리가 흔히 쓰는 ‘더럽다’보다 느낌이 조금 작은 말로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착살맞다’는 ‘착살하다, 착살부리다, 착살스럽다’와 같은 형태로도 쓸 수 있으며 비슷한 말로 ‘칙살맞다, 칙살하다, 칙살부리다, 칙살스럽다’ 등도 있다.
채만식의 ‘치숙’에는 “그 알량한 남편 양반 받드느라 삯바느질이야 남의 집 품 빨래야 화장품 장사야 그 칙살스러운 벌이를 해다가 겨우 겨우 목구멍에 풀칠을 하지요”라는 문구가 나온다.
‘단작스럽다’도 참고할 만한 단어다. ‘단작스럽다’는 ‘하는 짓이 보기에 치사하고 더러운 데가 있다’는 뜻의 형용사다. ‘치사하고 인색하며 욕심이 많다’는 뜻의 ‘타끈하다, 타끈스럽다’도 비슷하게 쓸 수 있다.
송기숙의 ‘녹두 장군’을 보면 “방필만이라면 타끈스럽고 강퍅하기가 근동에서 이름난 사람이오”라는 문장이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