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가 계속 증가해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고, 이로 인해 지역계층 간의 교육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공교육 내실화는 한국 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인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최근 인터넷 기반 학습 서비스인 사이버가정학습이 공교육 내실화의 모범적인 사례로 호평 받고 있다.
사이버가정학습은 공교육 내실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과 교육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정부의 주도하에 2005년부터 전국 16개 시도교육청 별로 운영되고 있다. 거주지의 시도교육청이 운영하는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를 방문해 가입하면 원하는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2008년 8월 현재 일일 평균 접속자가 30만여 명에 달하며, 6만여 명의 현직 교사들과 4천500여 명의 학부모 튜터들이 참여해 학생들의 학습관리를 지원하고 있다. 사이버가정학습은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한 단체(IMS)의 심사에서 대상을 받아 국제적으로도 최고의 이러닝 서비스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사이버가정학습이 좋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우선 학교 교육과 연계한 기초, 보충, 심화와 같은 다양한 수준의 학습 자료와 자신의 실력을 스스로 진단하고 보완할 수 있는 평가 체제를 제공해 자율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유용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열의와 능력이 뛰어난 현직 교사들을 사이버교사로 위촉해 철저한 학생 분석과 계획된 사이버 학급 운영으로 학생 개개인의 학습 관리를 체계적으로 해주는 것도 호평을 받고 있다. 게다가 내신관리용 핵심콘텐츠, 방학용 콘텐츠,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논술첨삭과정, 컴퓨터자격증 준비 과정 등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추가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고 흥미를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복습과 예습이 저절로”, “과제풀이로 선생님과 더 가까이”, “자율평가로 실력이 쑥쑥” 등이 사이버가정학습을 이용한 학생들의 평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작년에 사이버가정학습에 참여한 학생들의 80.2%가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해 성적이 향상됐다고 응답한 바 있다.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부모들의 평가도 호의적이다. 사교육비 부담을 줄여줄 뿐만이 아니라, 학습효과도 좋다는 점에서 고맙고 반갑다. 자녀가 사이버가정학습을 이용하고 있는 한 학부모는 “우리 아이가 받은 도움을 다른 아이들에게도 같이 나누어 주고 싶다. 이렇게 좋은 교육 시스템이 홍보가 적어 다른 학부모님들과 아이들이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참 안타깝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제는 사이버가정학습이 학부모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야 할 때임에 틀림없다. 청주교대 컴퓨터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