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를 뿌릴 때의 설렘과 기대감, 곡식이 자랄 때 보내는 지극 정성, 그리고 열매를 보면서 느끼는 만족과 희열. 농부의 마음에는 마르크스가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한 노동으로부터의 소외가 들어갈 여지가 전혀 없다. 그에 의하면 산업사회의 분업화가 생산품의 전 생산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창조적 희열과 일체감을 박탈함으로써 소외현상을 유발한다고 했다.
자라는 학생의 한 영역이 아닌 전인적 완성을 추구하는 교육자의 자세는 농부의 마음에 그 출발점을 두고 있다. 마르크스가 말한 노동으로부터 소외가 없는 교사는 참 행복한 직업임이 분명하다.
해가 바뀌면 많은 사람들이 한 해의 희망과 목표를 말하지만 교사의 경우는 좀 더 특별하다. 설렘이 동반된다. 운명적인 만남이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뙤약볕 논두렁에서 1년을 보낸 후 어느 농부가 말한다. 저 곡식은 내 몸이여.
학생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간의 분신으로 성장하는 모습에서 우리는 교육의 열정을 발견한다. 또한 교사는 학생들의 모든 영역을 망라해 교육함으로써 전문가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때로는 학생들에게 미래를 열어주는 스승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요즘 들어 소외현상이 교직에서도 느껴질 때가 있다. 학업성취도만을 기준으로 교원의 능력을 평가하려는 분위기, 교사의 노동을 단순노동으로 판단해 수치화하는 교원능력평가 등은 효율과 결과만을 강조한 산업사회의 산물은 아닌지 생각해 보게 한다. 학생들을 단순 생산품으로 취급하고 교육을 분업화하려는 시도의 부작용이 이번 학업성취도평가에서도 여러 문제점으로 나타났다는 생각이다.
학생들의 다양한 씨앗을 발현시키려는 설렘이 희망의 드라마로 연출될 새 학기가 시작됐다. 희망의 혜택이 누구에게나 제한 없이 제공된 교육열정 가득한 교정이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