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수 위주의 기계적 선발에서 벗어나 ‘입학사정관(Admissions Officer)’이 학생의 소질․잠재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뽑는 입학사정관제가 대입전형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정부는 우리 대입제도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학사정관제 정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안병만 교과부 장관은 8일 KTV에 출연해 “서울의 좋은 환경에서 수능 200점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못한 여건에서 200점 받은 학생 중 어느 학생이 더 뛰어나냐. 단지 점수로만 자르면 잘 드러나지 않는다. 그걸 변별해 내는 것이 입학사정관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틈만 나면 입학사정관제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교과부는 ‘2009년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 기본계획’에 따라 올해 전국 40여개 대학을 선정해 총 236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고 9일 밝혔다. 정부는 입학사정관을 활용한 전형 확대를 위해 2007년부터 입학사정관을 채용하는 대학에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원 규모는 2007년 10개 대학 20억원, 지난해 40개 대학 157억원, 올해 40여개 대학 236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이런 가운데 카이스트, 포스텍이 파격적 입시안을 내놨다. 카이스트는 1단계 선발에서 학교 성적은 아예 보지 않겠다고 선언했으며 잠재력․인성․성장 가능성 등 추상적 기준 외에 어떤 잣대로 학생을 선발할지 일절 공개하지 않았다. 포스텍 역시 신입생 300명 전원의 합격․불합격 여부를 점수가 아닌 입학사정관 개개인의 판단과 면접을 통해 결정하겠다고 했다.
다른 대학들도 지난해 발표한 2010학년도 입시전형 계획에서 입학사정관제 선발 인원을 전년보다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지만 최근의 분위기를 고려한다면 입학사정관 선발 규모가 훨씬 늘어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성균관대는 10일 수시 1차 전형 중 7개 특별전형 신입생 전원(626명)을 입학사정관제 심사를 통해 선발하겠다고 밝혔다. 또 수시 1차 전형 중 나머지 학업우수자전형(407명)도 일반계고 출신자만을 지원 자격으로 정해 학생부와 심층면접을 통해 신입생을 선발키로 했다.
한국교총은 입학사정관제 활성화는 학생․학부모의 입시부담을 줄여주고, 고교교육을 정상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교총은 최근 성명에서 “입학사정관제 취지에 대해 국민적 공감대가 있는 만큼 국가적 지원과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한 세밀한 보완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교총은 입학사정관제 안착에는 공정성 확보가 필수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인종․성별에 대한 배려 등으로 불합격했다며 소송도 내지만 대학이 모두 승소할 정도로 대학의 학생선발에 대한 공정성을 인정받는다. 우리도 그만큼 돼야 한다는 것이다. 입학사정관의 윤리의식이나 학생 전형자료 접근에 대한 법적 장치 보완 또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과부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교육․연수 전문기관 중 공모를 통해 5개 내외의 ‘입학사정관 전문 양성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