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 전형이 대학 입시의 새로운 모델로 떠오르면서 입학사정관이 보는 '우수인재'가 과연 어떤 학생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26일 제주 서귀포 칼(KAL) 호텔에서 개최한 입학사정관 세미나에서는 지난해 입학사정관 전형을 실시한 일부 대학들의 우수인재 발굴 사례가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대부분 성적이 그리 좋지 않더라도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을 벌이거나 특정 분야에서 열정과 소질을 갖고 있는 게 공통점이다.
우선 한동대는 대안학교 전형을 통해 발굴한 우수학생의 사례를 소개했다.
이 학생은 성적이 수학 2~3등급, 영어 4~5등급, 국어 4~5등급 등으로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으나 알고 보니 청각장애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이 학생은 장애에도 불구하고 방학 중에 보청기 제조업체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난청 아동캠프 보조요원, 난청인 클라리넷 앙상블 단원으로 활동하는 등 적극적인 자세가 돋보였다.
1단계 서류 평가에서 다른 합격생에 비해 교과 성적은 떨어졌으나 적극적인 교과 외 활동, 솔직한 지원동기 등이 긍정적으로 평가됐고, 2단계 영어, 수학, 인성 심층면접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합격의 기회를 얻게 됐다고 학교 측은 밝혔다.
동국대는 수험생 스스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열심히 한 학생에게 합격의 길이 열려있다고 설명했다.
국어국문학과에 합격한 A군의 경우 판타지 소설을 15권이나 쓴 경력이 있었고, 물리학과에 합격한 B군은 연구.실험 활동에 흥미를 느껴 각종 연구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연구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 활발한 활동이 돋보였다.
영화영상학과에 합격한 C군은 국제 청소년 영화제에서 비평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시나리오를 직접 쓰기도 했다.
학교 측은 "합격생들의 특징은 대학 진학을 위해 일부러 경력을 만든 것이 아니라 스스로 좋아서 열정을 가지고 경력을 쌓았다는 것"이라며 "공부도 어느 정도 해야 하지만 재능을 발굴해 키우고 이를 자료화하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13학년도부터 실기고사 폐지 방침을 밝힌 홍익대는 지난해 실시한 미술대학 자율전공 비실기 전형에서의 면접구술고사 사례를 소개했다.
판단력, 창의력을 평가하기 위해 특정 사물의 이름을 직접 대지 않고 사물을 설명하게 한다거나 특정 사물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설명하게 한다는 것.
예를 들어 '두루마리 휴지'를 보여주고 이 사물의 용도를 말하도록 한 뒤 원래 용도 외에 다른 방식으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게 한다는 것이다.
경북대는 리더십 우수자 전형에서 합격한 학생을 사례로 들었다. 이 학생은 청소년 국제교류 활동을 통해 러시아까지 방문했으며 다솜봉사단, 또래상담부 단장으로 활동하는 등 리더로서의 경험이 풍부했다.
특히 태안반도 봉사 활동 시에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군청에 건의해 버스를 지원받는 등 뛰어난 리더십을 보였다는 것.
부산대 전자전기공학부에 지원한 학생의 경우 1단계 성적이 합격선에 도달하지 못했지만 초ㆍ중학교 때 과학 관련 상장 50여개를 받는 등 특정 분야에서 소질을 보여 합격한 사례다.
전주대 영어교육과에 지원한 한 학생은 교과 내신이 3.6등급(영어 2.8등급) 정도였지만 신문사 청소년 기자, 법무부 범죄예방위원, 대한민국 고교 총학생회 문화위원 등 적극적인 활동과 효행상, 봉사상 등의 수상 경력이 합격에 도움을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