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획일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동일한 학습경험을 하는 학생들에게 창의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교육과정특별위원회(이원장 이돈희)가 마련한 ‘미래형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2차 국민 대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김경자 이대 교수는 “학생들이 관심을 갖는 영역에서 새로운 산출물을 생성해 내는 능력을 기대한다면 먼저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 다양화, 특성화가 허용되는 방향으로 미래형 교육과정의 구조가 수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27일 부산시교육청 대강당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김 교수는 “지금 이 시점에서 미래형 교육과정을 생각해야 하는 이유는 7차 교육과정의 요소들이 창의인재를 길러내는 학교 교육과정으로 구현․실현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학생들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교과를 획일적으로 배우고 있고, 학기당 이수하는 과목 수 또한 10개 이상으로 과다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학생들은 매일 세계에서 가장 긴 시간 공부에 매진하지만 심층적 학습을 통한 능동적 지식 구성보다는 교사 중심의 단편적 지식 전달 방식의 피상적인 학습을 하고 있으며, 학습동기가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글로벌 창의인재 육성을 위해서는 학생의 학습경험 양(피상적 학습)보다 질(심층적 학습)에 중점을 두고, 단위 학교와 지역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대폭 부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현행 10년에서 9년으로 하향 조정하는 한편 대입과 연계되고 초․중학교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큰 고교 교육과정을 획기적으로 자율화․다양화․특성화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주당 10개 과목, 중학생은 13~15개 과목, 고교생은 최소한 17~18개 교과목을 동시다발적으로 이수하는 시스템으로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성이 제한되고, 교과간 내용 중복을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학생들에게 과도한 학습 부담을 주는 것은 물론이다.
김 교수는 “초등학교부터 고교 1년까지 10년으로 이뤄진 현행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고교 과정을 제외한 9년으로 줄여 고교 교과과정에서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지나치게 많은 교과목을 성격이 비슷한 교과끼리 묶어 교과군으로 운영해 주당 이수 과목을 5~7개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토론회에서 기조강연을 한 이명현 서울대 명예교수도 “미래형 교육과정은 학생의 능력과 취미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운영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학교교육은 대화와 토론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논리적 훈련과 상상력 개발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역설했다.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는 4월 말 광주에서 제3차 교육과정 대토론회를 열어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5월께 미래형 교육과정 개편안을 확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