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치러진 경기도 교육감 선거 투표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당선자의 대표성 논란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경기도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교육감 선거에는 유권자 850만5천56명 중 12.3%(104만4천429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12.3%는 유권자 8명 중 1명꼴로 투표에 참여했다는 의미다. 이중 절반의 표를 쓸어담아 당선되더라도 전체 유권자 중 6% 남짓의 지지를 받은 데 불과해 당선자의 대표성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교육감 선거 투표율이 가장 낮았던 건 지난해 12월17일에 치러진 대전시 교육감 선거로 당시 투표율은 15.3%였다. 지난해 7월 서울시 교육감 선거 투표율은 15.4%였다.
낮은 투표율에 비해 임기 1년2개월 남짓의 교육감을 뽑는 이번 선거에 들어간 비용은 막대했다.
경기 선관위가 쓴 돈은 460억1천만원. 여기에 후보 5명이 선거비용 제한액(36억1천600만원)을 모두 사용했다고 치면 최대 640억원을 넘게 썼다는 계산이 나온다.
투표율이 낮은 것은 교육감 직선제가 시작된 지 2년 이상 지났지만 여전히 유권자들이 선거가 치러진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데다 선거일이 임시 공휴일이 아닌 평일이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29일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있고 선거운동 기간에 북한의 로켓 발사 등 국내외 대형 뉴스가 많아 유권자들의 관심이 분산된 것도 한 원인으로 지적됐다.
이장익 아주대 교수는 "(경기도 입장에서는) 첫 교육감 직선이라는 한계가 있었고 공교육에 대한 참여도도 낮아서 나타난 현상"이라며 "시민들이 교육문제에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도 정작 공교육에는 절실함을 느끼지 않고 있다는 반증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 선관위 관계자는 "뚜렷한 이슈가 없어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고, 특히 농번기를 맞은 농촌 지역의 저조한 참여가 투표율을 끌어내린 것 같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