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시험을 치를 당시 뿐 아니라 사후 관리도 엉망인 '부실 덩어리'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들의 답안지 관리 소홀로 65만장이 분실됐고 성적을 집계 프로그램에 입력, 보고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오류도 1만6천400여건에 달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3일 이같은 내용의 학업성취도 평가 재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향후 문제점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지만 교육당국이 국가 수준의 시험을 이토록 부실하게 관리했다는 것에 대한 지적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 답안지 65만장 사라져 = 성적 재집계 과정에서 드러난 일선 학교에서의 시험 사후 관리 시스템은 '엉망' 그 자체였다.
우선 시험이 끝난 뒤 일정 기간 당연히 보관이 돼야 할 답안지가 65만장이나 사라졌다. 65만장은 전체 답안지(900만장)의 7.2%에 해당하는 수치다.
교과부는 당초 시험이 실시되기 전 각 시도 및 지역 교육청을 통해 '답안지를 3년 간 보관하라'는 내용의 지침을 내려보냈다고 밝혔다.
답안지를 보관하라는 별도의 지침이 없었다 하더라도, 학생 또는 학부모가 성적 확인을 요구할 경우 등에 대비해 답안지를 일정 기간 보관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답안지가 없어진 이유에 대해 교과부는 교 사 전보, 교실 변경, 학교 리모델링 공사 등으로 인한 교사의 관리 소홀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OMR 시스템이 없어 문제지에 직접 답을 적은 경우가 많았는데, 많은 양의 문제지를 보관할 장소도 마땅치 않고 성적을 재조사하리라는 예상도 미처 못했었기 때문에 상당수의 학교가 답안지를 폐기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성적을 잘못 보고한 사실이 드러날 것을 우려해 학교에서 고의로 답안지를 폐기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교과부 관계자는 "고의로 답안지를 폐기, 분실했 다고는 보지 않으며 3년 간 답안지를 보관해야 한다는 지침을 전달하는 과정에 서 교사들에게 제대로 숙지시키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 성적 채점ㆍ집계 오류 1만6천402건 = 성적을 채점하거나 채점한 결과를 상부로 보고하는 과정에서의 오류도 1만6천402건이나 발견됐다.
1만6천402여건의 오류 가운데 75%인 1만2천500건 정도는 대부분 집계상의 단순 실수에 따른 것이었다는 게 교과부의 설명이다.
교사가 서답형 문항을 직접 손으로 채점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하거나 성적 결과를 학교에서 지역 교육청으로, 지역 교육청에서 다시 시도 교육청으로 보고하는 과정에서 숫자가 누락되고 착오로 잘못 보고된 경우가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OMR 시스템이 없는 초등학교는 학생이 문제지에 적은 답을 교사가 엑셀 프로그램에 옮겨 적는 과정에서 실수가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서답형 문항의 경우 채점자가 누구냐에 따라 배점이 달라 이를 다시 채점하는 과정에서 점수가 조정된 사례도 있었다.
오류 유형별로는 입력누락 1천75건, 집계오류 9천198건, 채점이기 오류 3천236건, 프로그램 사용 오류 654건, 성취기준 분류 오류 1천193건, 고등학교 분류 오류 75건, 보고 오류 54건, 기타 917건 등이었다.
180개 지역 교육청 대부분에서 오류 사례가 발견될 정도로 오류가 많았지만 16개 시도 가운데 울산, 인천, 제주 등 3곳은 오류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부 장기원 기획조정실장은 "3개 지역의 경우 교육청 차원에서 답안지를 일괄 수거해 채점을 했다 "며 "이들 지역은 향후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책을 세울 때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성적 결과는 대체로 비슷..지역차 여전 = 성적 재집계 결과 나타난 전국 지역별 성적 분포, 미달학생 비율 등의 경향은 지난 2월16일 발표됐던 것과 비교해 대체로 비슷했다.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등 5개 과목별로 초등 6학년은 기초학력 미달학생 비율이 1.5~3%, 중 3학년은 6.2~13%, 고 1학년(일반계)은 5.3~12.6%로 집계됐다.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기초학력 미달학생 비율이 높았고, 16개 시도별 편차도 크게 나 타났다. 특히 같은 시도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기초미달 학생 비율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16개 시도 교육청별로 보면 초등 6학년에서는 부산이 수학(1.0%)과 영어(1.5%)에서, 강원은 국어(1.6%)와 사회(1.6%)에서, 대전은 과학(1.3%)에서 기초 미달자 비율이 가장 낮았다.
중 3학년의 경우 국어 과목은 울산(5.2%)이, 사회(6.2%)와 수학(7.8%), 과학(7.0%), 영어(3.6%) 등 4과목에서는 모두 대구가 기초미달 비율 최저를 기록했다.
고 1학년은 강원ㆍ전북(2.2%)이 국어에서, 제주는 사회(5.6%)와 수학(4.5%), 영어(2.5%) 등 3과목에서 부산(6.6%)은 과학에서 기초미달 학생이 가장 적었다.
반면 기초미달 학생이 가장 많은 시도는 초6 국어는 제주(3.5%), 사회는 서울(3.0%), 수학은 충북ㆍ경북ㆍ경남(1.8%), 과학은 서울ㆍ제주(2.5%), 영어는 충남(3.9%)이었다.
중3 국어는 서울(11.2%), 사회는 서울(15.6%), 수학은 서울ㆍ경기(14.6%), 과학은 서울(15.5%), 영어는 경기(7.4%), 고1 국어는 경남(7.6%), 사회는 서울(16.2%), 수학은 충남(12.2%), 과학은 서울(17.9%), 영어는 충남(9.7%) 등으로 서울, 경기, 충남의 기초미달 비율이 타 시도에 비해 높았다.
180개 지역 교육청 중에서는 초6 국어는 경북 영양(0.0%), 사회는 강원 양구(0.0%), 수학은 경북 울릉ㆍ강원 화천(0.0%)이 기초 미달자가 '제로'였으 며 과학은 강원 양구ㆍ전북 임실(0.5%), 영어는 전남 구례(0.4%)가 기초 미달자 비율이 가장 낮았다.
중3 국어는 경북 봉화(3.1%), 사회는 강원 영월(3.3%), 수학은 서울 강남(6.4%), 과학은 강원 태백(2.3%), 영어는 경북 고령(2.0%)이 기 초 미달자가 가장 적었다.
지난번 발표에서 전국 최상위권 성적으로 화제를 모았던 전북 임실의 경우 재집계 결과 순위는 다소 떨어졌지만 초6의 기초미달 학생 비율이 0.5~1.4%로 여전히 전국 상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이번 재집계 결과에는 분실된 답안지 65만장이 제외된 것이므로 지난번 성 적 결과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
장기원 실장은 "이번에 발표된 성적은 국민의 알 권리 차원에서 보여주는 것이고 오는 10월 치러지는 학업성취도 평가부터가 진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