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고교 교사들은 입학사정관제 대입 전형에서 교과 성적 외에 학생들의 발전 잠재력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수상경력과 에세이를 꼽았다.
부산대 교육학과 김석우 교수는 30일 부산대 본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입학사정관제 학술회의에서 부산지역 16개 고교 3학년 담당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입학사정관제 비교과 영역의 평가방안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고교 교사들은 학생기록부의 비교과 영역 가운데 학생들의 발전 잠재력을 판단하는 첫번째 기준으로 수상경력(38.3%)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자격증(22.6%)과 독서활동(13.2%), 출결상황(9.5%), 특별활동(6.8%)을 선택했다.
학생기록부 이외에 학생들의 발전잠재력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는 에세이(57.9%)를 선택한 교사가 가장 많았고, 담임 추천서(17.7%)와 자기소개서(9.4%), 교과담당교사 추천서(9%), 특별담당교사 추천서(4.1%) 등이 뒤를 이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특별활동' 부분에서는 봉사활동(59%)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며, 다음으로 자기계발활동(26.3%)과 자치활동(8.3%), 행사활동(4.1%) 등의 순으로 중요도를 인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은 또 학생 봉사활동의 진정성 여부를 가려내기 위한 보조자료로는 활동과정 포트폴리오(65%)와 활동소감 에세이(21.4%)를 꼽아 봉사활동에 대한 기록의 중요성을 인정했다.
독서활동을 판단하는 보조자료로는 독서일지 및 독서기록장(64.3%)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교육청의 독서장려 프로그램 활용자료(19.5%), 독후감 제출(7.9%), 독서관련 교사 추천서(7.1%) 등의 순으로 답했다.
이번 조사를 담당한 김석우 교수는 "학교생활기록부의 교과영역은 등급과 점수 등으로 비교적 분명한 평가 방안을 도출할 수 있지만 비교과 영역의 경우 자기소개서와 에세이, 면접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