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작은이야기> 새내기 교사와 요청 장학

‘어, 컴퓨터가 왜 이러지?’ 요청장학을 하기로 돼있던 교실의 컴퓨터가 말썽이었다. 평소엔 아무 문제가 없었는데, 컴퓨터도 나처럼 긴장하고 있었다. 애니메이션 영상을 이용하려고 했지만 수업 계획 일부를 수정했다. 그래도 당황하지 않았던 것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도 미리 생각해뒀기 때문이다.

드디어 수업이 시작됐다. 수학과 수준별상반 학생들이 대상이며 학습 주제는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 곱하기를 모르는 학생에게 지수법칙을 설명해봤자 아무런 소용이 없듯 과목 특성 상 선수학습요소를 정확히 모르면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입부분에서 선수학습내용을 분명히 알 수 있도록 구성했다. 화려한 겉포장보다는 짜임새 있는 내용구성으로 학생들을 집중시켜보자는 생각이었다.

다른 단원에 비해 설명이 길고 학습요소가 많아서 다소 지루해질 것 같은 걱정이 앞섰다. 그래서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미지수가 1개인 일차방정식’과 비교, 대조하면서 설명하는 방식을 택했다. 판서하다가 강조할 부분에서는 색종이를 붙여서 강조하기도 하고, 핵심 요소는 플로터로 크게 인쇄해 계속 볼 수 있도록 칠판 옆 벽면에 붙여두기도 했다. 지루함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이런 저런 부분에서 보였는지, 학생들도 기대 이상으로 잘 따라줬다.

형성평가와 차시예고까지 마치자 수업을 마치는 종이 울렸다. 전반적으로 수업 수준을 높게 잡은 편이라 학생들이 탐구할 시간이 부족했지만 큰 문제없이 마무리했다.

수업을 끝내고 나니 그 때서야 보이는 실수들이 계속 떠오르면서 날 괴롭히기 시작했다. 회의실로 향하는 내 발걸음도 천근만근이었다. 회의실에는 매사에 학교일을 꼼꼼히 챙기시는 교감선생님을 비롯한 많은 부장선생님들께서 계셨다. 장학사께서는 물론 칭찬도 해주셨지만 실제로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전시와 본시를 연결 짓는 수업의 구조화는 잘 됐지만 판서의 구조화가 더 중요하고, 상반 수준의 학생들에 맞는 추가 설명도 필요하다고 했다. 경험을 바탕으로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조언을 해 주셨다. 경험이 부족한 새내기 교사인 나는 학생들의 수준 파악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할 듯 했다.

사실 처음 요청장학을 하기로 결정했던 날까지만 해도 그저 부담스러운 과제였다. 하지만 어떤 장학이
됐든 그 본래의 취지가 수업의 개선이 아니던가. 그러기에 요청장학은 새내기 교사로서 수업능력이 턱없이 부족한 내게 더더욱 필요한 과제이자, 더더욱 반겨야할 과제임을 알게 됐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