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교총은 28일 제292회 이사회를 열고 정부에 신종플루 위협에 대한 위기관리 대책 마련, ‘1인당 학생수’ 기준에 따른 교원배정 방식 재고, 수능성적 공개시 국가수준의 기준과 방법 제시 등을 촉구했다.
이사회는 이날 채택한 결의문을 통해 신종플루의 급격한 확산으로 학교구성원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은 상황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국가차원의 위기관리 대책을 조속히 마련, 시행할 것을 요구했다.
또 “교사 1인당 학생수 기준에 따른 교원배정 방식은 농·산·어촌의 교육황폐화를 부추긴다”며 교육소외 지역에 대해서는 학급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별도의 교원정원 배정기준 마련을 주문했다.
이사회는 아울러 ‘2009 개정 교육과정’ 개편에 교원단체의 참여를 보장하고 수능성적 공개가 사회적 갈등으로 비화되지 않도록 수능 성적 공개시 국가수준의 기준과 방법 제시를 요구했다.
이사회는 이밖에 ▲에듀파인 시스템의 개선책 마련 ▲근무평정기간 단축 약속의 조속한 이행 ▲교육재정 확보 범국민협의체 운영 등을 제안했다.
한편 한국교총이 전국 초․중․고 교원 3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차 신종플루 관련 학교실태 조사(10.27∼28)에 따르면 신종플루에 대한 학생들의 불안감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조사 시 ‘매우 불안하다’는 응답률이 20.3%였으나, 2차 조사시에는 42.8%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면 또는 일부 휴교여부를 질문에 22.1%인 84개교가 휴교를 실시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 조사대상 학교에서 교직원 중 신종플루 확진 환자 발생여부를 묻는 질문에 28.4%(108개교)가 ‘있다’라고 응답했으며 접종대상에 빠져있는 교원들도 ‘학생들의 단체 접종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한 교원도 95.3%에 달했다.
교육당국이 검토 중인 지역별 휴교령에 대해서는 '학교 휴업 여부는 개별 학교장 판단에 맞겨야한다'는 응답이 59.8%로 가장 많았지만 '신종플루 확산 방지를 위해 전국 학교 휴업(휴교)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39.1%로 높았다.
학교휴업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확산지역 중심(권역별)의 휴업' 39.3%, 전국 학교 일제휴업 22.3%, 학교당 일정 비율 이상 학생이 신종플루에 감염됐을 때 휴업 20.4%, 고교 제외한 초중학교 휴업 16.5% 등이었다.
손세척제, 체온계 등 신종플루 관련 물품 구비 현황과 관련해서는 응답자 55.6%가 '어느 정도 구비는 됐지만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답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 70.3%는 신종플루 백신을 학생들에게 단체접종하는 것에 대해 "사고 및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다"며 신중한 접근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