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근무 30년 만에 운동이 이렇게 대단한 줄은 몰랐어요. 우리 반 학생들은 무기력하며 의욕도 없고 공부도 못해 어찌하나 늘 고민됐는데, 이번 구기대회에서 운동만능인 한 학생 때문에 갑자기 반의 분위기가 달라졌어요. 구기대회 우승은커녕, 출전조차 불투명했던 반이 똘똘 뭉쳐 응원하고 열심히 뛰는 선수들 덕분에 우승을 차지하게 됐어요. 지금은 또 공부하는 분위기에요. 그 학생이 자기는 꼴찌는 안할 자신이 있다고 선언했기 때문이죠. 반 아이들의 눈초리가 매섭고 의욕이 넘쳐나요. 운동하나가 이런 분위기를 만든다는 것이 새삼 놀랍네요.”
지난 학기말 구기대회에서 우승한 학급의 담임교사인 동료가 나에게 와서 한 말이다.
최근 들어 우리 사회에 운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뿌리내린 것 같다. 성인들의 경우 운동의 생활화가 개인 또는 클럽 등을 통해 보편화됐다. 그러나 정작 운동이 필요하고, 많은 활동을 해야 하는 우리 학생들은 운동의 테두리에서 소외돼 있다. 엄마, 아빠는 운동하는데 아들, 딸들은 운동을 못하고 있다.
따라서 ‘50대 아버지보다도 못한 고등학생 아들의 체력’이라는 기이한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과 비교해 봐도 너무나 많은 차이가 나 여간 걱정이 아니다. 그들이 하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제도가 그들을 운동에서 몰아내고 있는 것이다.
정규 시간이 끝난 뒤 학교 운동장을 보면 어느 학교에서도 학생들이 있는 것을 보기 쉽지 않다.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운동이 필요하다고 느끼고는 있으나 실제로 운동은 하지 못하고 있다. 운동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다. 왜냐 하면 생리학적으로 성장·발달기에 있는 학생들은 부단히 활동하려 하고, 또한 그러한 욕구가 충만해 있기 때문이다. 어느 신문에 보도된 바와 같이, 오죽하면 모든 학습이 끝나고 잠자기 직전의 시간인 밤 12시에 나와 농구공을 던지겠는가. 학생들은 열심히 뛰고 싶은데 현재의 입시제도 때문에 운동욕구를 누르며 참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학교 체육은 정과 체육, 자율 체육, 엘리트 체육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다. 정과 체육은 정규 체육시간의 활동이고, 자율 체육은 계발 활동, 클럽 스포츠 등의 자발적 활동을 말하며, 엘리트 체육은 스포츠를 전공하는 학교 운동부 활동을 말한다. 이것 중 어느 하나도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나 최근 이 세 부문 모두가 소홀해지고 있다. 정과체육은 수업시수의 축소로, 자율체육은 입시제도 때문에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고, 엘리트 체육은 정부의 예산지원 삭감으로 의기소침해 있다.
학교 체육의 활성화에 대한 토론은 각 단체별로 무수히 많이 열리고 있다. 체육 수업, 클럽스포츠, 학교 운동부, 훈련, 학습권의 박탈, 전국소년체전 및 전국체전, 대회개최 시기, 대회 종목 제한 등 수많은 주제별로 매우 다양하게 토의가 진행된다. 그러나 쇠퇴해가는 학교 체육에 대한 뾰족한 방안은 없다. 예산, 시설, 제도, 지도자, 선수 발굴, 열정, 관심, 사회적 분위기 등 수없이 많은 이야기가 거론됐지만 정곡을 찌르는 방책은 없다. 그저 떠도는 메아리일 뿐이다.
자라나는 시기에 운동이 부족하면 어찌 되겠는가.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몇 년 전 잘 아는 외국인과 한국의 일류대 학생과의 만남에서 ‘무슨 운동을 했느냐’는 외국인의 질문에 난 ‘운동은 안하고 공부만 했다’는 학생의 대답에 ‘이상 하네’라고 했던 외국인의 반응이 머릿속에서 맴돈다.
이미 우리 사회에도 자라나는 청소년기의 운동 부족 현상이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30대 젊은 부부의 불임과 노인성 질병이 그것을 말해 주고 있지 않은가. 문제는 입시제도다. 논에 농약을 몇 년만 뿌리지 않아도 금방 물고기들이 몰려든다고 한다. 우리 운동장에는 입시제도만 약간 비틀어놔도 학생들로 넘쳐날 것이다.
세계 제일의 일등국민이 되게 하려면 학생들이 운동하면서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줘야 한다. 일선 학교의 체육 수업 및 자율 체육도 강조돼야 할 뿐만 아니라, 세계 스포츠계의 추세에 따라 엘리트 선수 육성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해 학교 체육 지도자들이 다함께 노력해야 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교육정책 및 입시제도의 획기적인 개선과 학부모 및 학생들의 의식전환이 뒤따라야만 학교 체육의 발전과 학생들의 건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