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잠재력과 창의성을 보고 선발하는 입학사정관 전형이라 하더라도 고교 내신성적에서 몇 등급이 떨어지는 학생을 뽑기는 어렵습니다. 고교 교육과정에 충실해야 합니다."
3~5일 제주 칼 호텔에서 열리는 대학입학사정관제 사례발표 워크숍에 참석한 입학사정관협의회 임진택(경희대 입학사정관) 회장과 김수연 가톨릭대 입학사정관, 김진환 공주대 입학사정관은 4일 지난 몇년간의 경험을 토대로 이같이 조언했다.
임 사정관은 "내신을 뛰어넘을 만한 다른 부분이 있으면 되는데 그걸 찾기는 실제로 어렵다. 예컨대 어떤 대학에 학생부 2.5~3등급의 수험생이 대부분 붙는다고 가정하면 4등급도 합격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그 이유는 성적 차이를 뒤집을 수 있는 다른 요소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진환 사정관도 "공부는 잘 못하지만 특출난 능력이 있는 합격자만 소개돼 이런 학생들만 뽑는 것처럼 비쳐지는 측면이 있어 학부모와 수험생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한 등급의 차이를 뛰어넘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입학사정관 전형은 아무나 붙는 '도깨비 방망이'나 대학 가는 지름길인 '아우토반'이 아니라고 규정했다.
표창장이나 입상 실적 등 서류 하나에 너무 집착하거나 자기소개서를 잘 꾸미려고 하지 말라는 조언도 내놨다.
그런 요소 하나로 당락이 바뀌지 않을뿐 아니라 되레 감점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것.
임 사정관은 "각종 사설 학원이나 법인, 협회 명칭을 쓰는 데서 무분별하게 주는 표창은 따로 분류한다. 한 번은 현역 국회의원이 주는 봉사활동 상을 첨부한 수험생이 있었는데 도저히 주거나 받을 이유가 없고 실적도 없어서 불이익을 줬다"고 소개했다.
김수연 사정관은 "자기소개서 대필 문제가 심각한데 서류전형으로 걸러내지 못해도 심층면접에서 반드시 확인한다. 자기소개서가 만점에 가까운 학생이 있었는데, 짜깁기한 사실이 발각돼 불합격 처리된 경우도 있다"고 강조했다.
획일화된 교육 여건에서 남들보다 특별히 잘 쓴다는 게 어려운 일인데 다른 학생에 비해 특이하게 글이 우수하다면 사정관의 의심을 사게 되고, 일일이 인터넷 등을 검색하며 어디서 베낀 글은 아닌지, 누가 써준 것은 아닌지 확인한다는 것이다.
그는 "자기소개서는 외형적인 표현력이나 자구, 형식을 보는 게 아니라 고교 생활에서 어떤 다양한 경험을 했는지, 어떤 인생을 살아왔는지 보는 것인데 인생을 바꿀 수는 없지 않느냐"고 반문하고 학생부를 근거로 작성하라고 충고했다.
이들은 입학사정관제가 정착되려면 고교 교육 현실이 개선돼야 한다는 점에도 입을 모았다.
임 사정관은 "미국은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게 다양한 교과외 과정이 있는데 우리는 100% 교과에만 맞춰져 있다. 방과후 교육 프로그램까지도 획일적인 상황이어서 잠재력을 평가하기 어려울뿐 아니라 전형 목적에 부합하는 학생이 그렇게 많지는 않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사정관제가 시행되고 나서 교사들이 기록하기 시작했고 학생부 기재 방식이 바뀌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임 사정관은 "고교나 수험생이 입학사정관제에 합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묻지만 개별 학생의 모든 것을 보기 때문에 답을 줄 수는 없다. 학생들이 고교 교육과정에 충실하고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고 열의와 열정을 보여준다면 사정관들이 그런 학생들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또 내신성적에서 계속 1등급을 유지해온 학생보다는 3등급에 머물다 1등급으로 올라간 그런 학생을 주목한다고 강조했다.
김진환 사정관도 "비법이 없으니 학원이 개입할 수 없다. 사교육을 받지 않아도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 전형이 입학사정관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