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싣는 순서 1. HW 보급 그후 ① 좌담회 ② 관리 실태 ③ 학교별 현황 ④ 종합 대책
하드웨어 관리 대책은 크게 학교단위와 정부단위로 나눠볼 수 있다. 학교단위 대책에서 일단 우선시 돼야 할 사항은 실제 사용자의 관리 능력 향상이다. 사용자의 사소한 실수나 사용법 미숙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켜지지 않는다고 했을 때 실제로 점검을 해보면 전원 케이블이 빠져 있는 경우가 부지기수고 키보드나 마우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케이블이 빠져서 그런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담당교사의 설명이다. 바이러스에 의한 문제 역시 사용자들이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고 감염이 됐다 하더라도 곧바로 조치할 수 있는 사안이다. 정보화 기자재 관리 요원의 자질 함양 및 업무 경감도 중요하다. 담당 교사의 능력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인 문제 해결은 물론 하드웨어적인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필요한 부품을 직접 구매해 교체하는 것도 가능한 일이다. 물론 담당 교사도 일반 교사와 마찬가지로 수업이나 학급 업무 기타 행정 업무 등을 수행하면서 장비관리도 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부담이 되는 것이 현실이므로 업무가 지나치게 과중하게 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장비 제작 또는 판매업체의 A/S 이용은 일정 기간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인 대책은 되지 못하기 때문에 최근 각급 학교에서 확산되고 있는 유지·보수 업체와의 계약 체결을 통한 관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월별 관리비는 업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개 15∼25만원 선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산상의 부담은 있지만 전문 기능을 갖춘 정비 기사에 의해 장비들의 관리가 이뤄지고 또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 차원의 정비도 가능하므로 장비 관리를 훨씬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자재 관리의 효율성이나 담당 교사의 업무 경감의 차원에서 볼 때 이 정도 예산은 지원돼야 한다는 것인 일선 교사들의 주장이다. 경북의 한 고등학교 정보화 담당교사는 "유지·보수만 효율적으로 이뤄진다면 하드웨어 교체 시기를 몇 년을 늦출 수 있고 실제적인 기자재 활용 비율도 훨씬 높일 수 있다"며 "자세한 전문업체 정보와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학교의 수에 비해서 전문 업체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자칫 학교 측에 불리한 계약이 맺어질 경우를 대비해 교육청 또는 몇 개 학교 단위로 공동 계약을 맺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일부 지역 교육청에서는 교육청 차원에서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하여 일선 학교를 지원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 있기도 하다. 교육청 또는 그 이상의 상급 기관 수준에서 마련해야 할 대책에서 가장 우선시 돼야 할 사안은 역시 질 높은 연수의 실시다. 현재까지의 연수과정은 대체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해 업무 처리를 하는 방법에 치중했고 학교 컴퓨터나 관련 장비의 관리를 위한 연수는 그다지 많지 않았던 만큼 이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실질적이고 수준 높은 연수가 필요하다. 지역 교육청 단위의 지원센터 또는 지원반 운영도 적절한 대안이다. 학교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의 유형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지역 교육청이나 지구별로 정비지원센터를 운영, 필요한 자문이나 기술 지원을 제공하여 학교를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단위 학교의 담당자들이 정기 또는 수시 인사에 의하여 보직이 변경되는 경우나 인사 이동이 일어날 때 상호간의 인수인계에 충분한 시간이 없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지원센터의 필요성은 더욱 커진다. 이러한 방법 등 중에서 일부는 이미 정부나 교육청 차원에서 방안으로 고려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방안들의 중복 추진으로 예산이나 인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체계적으로 추진만된다면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임형준 limhj1@kfta.or.kr /박성진 본지 정보화자문팀·서울당곡중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