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7 (수)

  • 흐림동두천 -2.8℃
  • 구름많음강릉 2.4℃
  • 서울 -1.0℃
  • 구름많음대전 4.1℃
  • 대구 5.4℃
  • 구름많음울산 5.4℃
  • 광주 3.7℃
  • 흐림부산 7.1℃
  • 흐림고창 4.2℃
  • 제주 9.4℃
  • 구름많음강화 -2.7℃
  • 구름많음보은 0.8℃
  • 흐림금산 3.4℃
  • 흐림강진군 4.2℃
  • 구름많음경주시 5.2℃
  • 흐림거제 7.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잠자는 아이들을 깨워라"


5명중 1명 수업중 1시간이상 수면
상호간 의사소통에 익숙한 세대
교과특성별 수업내용 변화 필요

서울C중 1학년인 김모군은 하루에 2시간은 수업 중에 엎드려 잠을 잔다. 선생님이 상담을 하고 타일러도 고쳐지지가 않는다. 자는 이유를 물으면
"들어도 모르고 그냥 졸리다"는 대답만 한다. 처음에는 자는 것에 대해 부끄러움도 있었지만 점점 무뎌져 간다는 반응이다.
최근 교실붕괴의 한 현상으로 수업시간에 엎드려 잠을 자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더욱이 이를 지도하는 교사들조차 무력함을 호소하거나 수업시간을 방해하기보다는 조용히 잠을 자주는 것이 오히려 낫다며 무시해버리는 경향
마저 나타나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한국청소년상담원이 전국 중고등학생 12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18.6%가 하루평균 1시간 이상 수업시간에 엎드려서 잔다고
응답해 이미 우려할만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는 이유에 대해서는 몸이 피곤해서 잔다는 응답이 46.1%를 차지했고 수업내용이
재미없어서 잔다는 응답도 높은 비율(18.3%)를 차지하고 있다.
노골적 수면을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는 중학교 1, 2학년때. 초등학교와는 달리 심신의 부담이 커지고 학과 내용에 대해서도 흥미를 잃기 쉬운 시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교사들의 태도도 변하고 있는데 청소년들이 자도 내버려둔다는 응답이 23.3%임을 볼 때 이미 교사와 청소년간의
단절경향이 우려할 정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이 현행 입시제도와 변하지 않는 수업내용, 그리고 급격한 사회환경 변화에 대한 부적응 등의 이유를 들고 있다.
현행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수업내용이 진학에 초점을 맞춰 구성돼 있어 실업계나 대입 이외의 진로를 희망하는 청소년들이 수업시간에 의욕을 잃고
소외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또 교사와의 관계나 수업 내용과 방법에 대해 불만족할 경우 잠을 자는 시간이 1시간 이상 늘어나고 아울러 엎드려
잠을 잘 때의 느낌도 두렵다는 것보다는 아무렇지도 않다는 느낌이 더 많아지는 것을 볼 때 이것이 중요 변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과거보다
청소년들이 방과후 집이나 도서관에서 육체적인 휴식을 취하기보다는 PC방이나 아르바이트, 노래방 등 신체활동을 하며 여가 시간을 보낼 기회가
많아졌기 때문에 수업 중 수면을 증가시키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상담원이 펴낸 상담사례보고서에서 전문가들은 인문계 진학 및 대입 지향으로 진행되는 현 교육체제에 대한 재고를 가장 우선적 요구사항으로 지적하고
있다. 현 공교육과정 속에서 경험하는 단절감이 크기 때문이라는 것. 대입 외의 여러 가지 사회 진출 경로가 많아진 현 상황때문에 과거보다 이같은
현상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또 중학교교 1, 2학년 시기에 처음 이런 행동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수업내용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문도
하고 있다.
구본용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는 "이 시기는 무기력과 좌절, 실망을 경험하기 쉽기때문에 수업내용과 방법에 대한 재고와 교사-학생간 관계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교사들도 방치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상담원의 면접조사 결과 상당수의 청소년들이 좀 더 교사가 적극적으로
통제하고 자신들의 행동에 개입해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응답한 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교사의 입장에서 수업의 재미 측면을 부각시킬 것을 주문하고 있는 것도 공통된 시각이다. 요즘 청소년들이 상호 소통적인 정보전달매체에 예민하므로
이들이 좀 더 거부감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현재의 수업과정과 방법을 바꿀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융통성 있는 교수 학습방법을
취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해당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칭찬 등을 통한 장점 찾기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설명이다.
/임형준 limhj1@kfta.or.kr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