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동감으로 시작되어야할 새 학기가 어수선하다. 양산되는 많은 각종 정책과 교육행정기관과 학교별 교원인사이동으로 교직사회는 분주하다. 특히 내부형교장공모 과정에서 나타난 불공정성 논란에 더해 일부 교육청의 납득키 어려운 인사로 인해 어수선함과 분주함이 더하다.
최근 광주시교육청은 교육청 내 한시적 조직인 광주교육혁신추진단을 이끌 정책기획관에 전교조 광주지부장 출신의 교사를 장학관으로 전직시켜 정책기획관에 임명한 바 있다. 7년 이상의 교육경력만으로도 장학관이 될 수 있도록 교육공무원인사관리기준까지 변경해 시행한 이번 인사로 인해 위인설규(爲人設規)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하고, 장휘국 교육감이 도를 넘어선 내 사람 심기의 전형을 보여준 인사가 아니냐는 비판이 지역 교직사회에 일고 있다.
또한, 강원도 민병희 교육감은 지난해 경쟁시험을 통해 선발된 올 임용 대기자 10명보다 많은 전 유치원 전임강사 16명을 특별채용을 한 바 있다. 도교육청은 “관련 규정을 적용한 적법한 절차였다”라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교원 임용이 공개채용방식이 대다수인 상황에서 특채방식으로 특정인들에게 특권을 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공립유치원교사 임용시험을 위해 오랫동안 열심히 준비한 예비교사들의 허탈감을 감안할 때 공정한 인사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아울러 지난해 서울시교육청이 징계위원회를 구성함에 있어 위원 9명 중 새롭게 위촉된 4명 전원을 진보성향으로 채웠고, 또 인사위원회 9명 중 외부인사 7명은 대부분 진보성향의 인사로 꾸린 바 있다. 전북도교육청도 ‘행복한교육공동체추진단’을 구성 운영함에 있어 특정교원노조 중심의 조직 구성으로 지역교육계의 우려와 반발이 일었다.
‘인사는 만사’라 한다. 기관장이나 인사권자는 인사를 통해 기관과 조직을 이끌고 자신의 이상과 조직비전을 구현한다. 인사의 성패 여부는 관련 법령 및 규정 준수, 균형감, 공평무사, 업무능력 고려, 조직 구성원의 공감 등 많은 요소에 달려 있다. 상식을 벗어난 인사는 늘 조직의 갈등을 야기하고, 화합을 이끌지 못하기 마련이다.
교직사회는 자신의 노력과 열정, 능력에 따라 객관적이고 공정한 인사를 받기를 바란다. 임용권자의 고유권한인 인사권은 당연히 존중되어야 하지만, 코드 맞추기와 ‘앞으로 나란히’ 식의 줄서기가 앞서는 인사가 남발되면, 결코 조직의 단합과 화합을 이끌지 못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교육감의 이념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이 나뉜다는 사회적 우려가 큰 상황에서 인사마저 ‘자기사람심기’가 이루어져서는 결코 안 되며, 차제에 공정하고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인사가 이루어지길 진심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