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가 지난달 26일 공개한 고등학생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 시행방안은 말하기와 쓰기를 강화해 이르면 2016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대체한다는 것이 그 골자다. 듣기·읽기·말하기·쓰기의 4개 영역에 대한 4등급 절대평가 방식으로 2급과 3급으로 나눠 치르게 되는 이번 안은 ‘살아 있는’ 의사소통 중심의 실용 영어로 가는 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국가영어능력평가 도입을 우려하는 목소리 또한 만만치 않다. 우선 사교육이 벌써부터 심상치 않게 들썩이고 있다. 새로운 시험에 대한 불안으로 학생들이 학원으로 몰려들 수밖에 없다는 전망에 따라 관련 주가가 오르는 등 이미 사교육 시장은 ‘특수’를 누리고 있다.
시험 수준도 현행 수능보다 낮아 변별력 논란 또한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9등급제 수능조차 변별력이 낮다는 대학들이 A, B, C, F 등 4등급으로만 나눠진 절대평가에 만족할 리 없음은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말하기와 쓰기 수업을 위한 학교 교육여건 역시 미비하다. 대부분의 대도시 영어교사들이 맡고 있는 1인당 학생 수는 100명에서 많게는 200명에 이른다. 이런 현실에서 아무리 짧은 작문이라도 읽어보고 첨삭을 가미한 평가를 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요구될 지는 잠깐만 생각해봐도 알 수 있지 않겠는가.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평가 안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학교가 충분히 준비되면 시행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실제 내용은 내년부터 일부 대학이 수시모집에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을 활용하는 등 이미 정해진 수순을 따라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결국 현재 고 2부터 2015년에 대학 입시를 치르는 중 3까지는 수능 영어와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을 모두 준비해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발이 빠르면 헛딛는다’고 했다. 아무리 취지가 좋고 방향이 옳다고 해도 서두르면 부작용이 크다. 헛디딘 아픔은 발이 빠른 사람이 아니라 학생과 교원에게 고스란히 상처로 남는다는 점을 교과부는 다시 한 번 기억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