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조금동두천 29.3℃
  • 맑음강릉 28.2℃
  • 구름조금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27.8℃
  • 구름많음대구 28.3℃
  • 구름많음울산 27.3℃
  • 구름많음광주 28.4℃
  • 구름많음부산 26.3℃
  • 구름조금고창 28.3℃
  • 흐림제주 25.0℃
  • 맑음강화 27.4℃
  • 구름조금보은 27.2℃
  • 구름조금금산 27.5℃
  • 구름많음강진군 27.8℃
  • 구름많음경주시 29.6℃
  • 구름많음거제 26.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주5일수업 시간표 어떻게 짤까

평가원, 교육과정 편성 정책 포럼

2012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주5일제 수업을 앞두고 ‘190일 이상’으로 줄어든 수업 일수를 어떻게 꾸려나가야 할까.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성태제)은 13일 서울 정동 평가원 대회의실에서 ‘주5일수업제 전면 자율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정책 포럼’을 열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육과정 조정 방안들을 제시했다.

주제발표의 총책임을 맡은 박순경 평가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포럼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해 학교 교육과정의 과부하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수업 실시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준비됐다”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초·중·고별 교육과정 편성을 190일안과 195일안으로 구성해 제시하고 장·단점을 분석·발표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연구를 맡은 백경선 부연구위원은 “190일 편성안의 방학일수가 86일인 데 반해 195일안은 외려 방학일수가 79일로 줄어들었다”고 밝히고 “190일로 운영할 경우에는 195일 운영시보다 주당 수업시수가 1시간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에 대해 발표한 이승미 부연구위원은 기존의 요일별 시간표에 새로운 일차별 시간표를 도입했다. 이 위원은 “195일안은 수업일수 190일에 비해 탄력적이고 여유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하나 초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방학기간이 줄어 교사․학생의 자발적 연수의 기간이 줄어든다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한혜정 부연구위원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190일로 주당 34시간 수업을 할 경우 주당 수업시간 33일보다 수업부담은 늘어나나, 수업시간표가 주마다 일정하고 195일안보다 10일 가량의 방학을 더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발표자로 나선 민용성 연구위원은 “주5일제 수업의 성공적인 연착륙을 위해 후속적인 지원이 강화돼야할 것”이라면서 “초등학교 돌봄교실 운영 지원, 방화후학교-토요프로그램 연계, 지역 사회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토론자로 나선 정훈교 강원 관설초 교사는 “수업시수가 줄어야 진정한 주5일 수업이 가능하다”면서 “교과(군)별 연간수업시수 감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석인숙 충북 청주남중 교감은 “일차별 시간표를 도입할 경우 학교 현장에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고 순회교사 운영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성찬호 부산교육청 장학사는 “190일과 195일(안)에 대한 단순한 비교는 곤란하다”고 설명하고 “다양한 장·단점을 고려해 여유 있게 수업일수를 잡는 것이 현실적으로 적절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