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독일 환경 정책은 획기적인 변화를 맞았다. 오는 2022년까지 독일 내 모든 원자력 발전소가 폐쇄되고 태양열과 풍력, 바이오매스, 수력을 이용해 2020년 이전에 35%까지 전력공급을 보충할 계획이며, 2050년까지 80%를 목표로 매진하고 있다.
교육기관도 예외는 아니다. 지금까지 초·중·고교에서의 환경교육이 질적·양적인 면에서 턱 없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환경교육이 지금보다 더 강조돼야 한다는 주장들이 힘을 얻기 시작했다.
독일은 1979년 환경을 모토로 한 녹색당이 탄생할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환경의식이 앞선 나라다. 1970년대부터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거론되기 시작했고 1980년대 들어 학교에서 본격적인 교육이 시작되었다.
독일의 환경교육은 과목을 초월해서 모든 수업에서 자연 친화적인 방법을 도입했고 생태구조와 에너지, 수자원, 대기오염, 소음, 쓰레기 문제 등을 두루 섭렵하며 청소년기부터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했다.
초등학생만 하더라도 현장학습을 통해 아이들이 자연을 겸허한 마음으로 즐기며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수업은 지금까지 '의무'가 아니라 '권장',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그린피스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앞으로는 환경을 독립된 과목으로 분리하고, 선택이 아닌 필수로 지금보다 더 깊이 있게 다루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가장 중요성을 인식해야할 집단이 교사임을 인식하고 교사들을 상대로 활발하게 홍보하고 있다. 또한 교재 개발과 창의적인 수업방법에 대한 토론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환경과목의 중요성이 특히 강조되는 이유는 오는 2020년까지 독일 산업현장에 63만 여 환경 관련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과도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이제 독일 학생들의 미래는 환경을 제외하고는 생각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미래뿐 아니라 당장 현재도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신재생 에너지 분야는 9년 전보다 4배나 많은 인력이 종사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이미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은 전문가 부족으로 일자리는 있지만 인력이 없는 상황이라고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앞으로도 이 분야의 인력부족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한다.
이밖에도 아우스빌둥이란 직업과정을 이수한 현장 전문가를 비롯, 전문대학과 일반 대학을 졸업한 고급인력까지 환경연구와 교육, 환경이론과 계획, 환경기술과 실습 분야에서 다양한 전문가가 요구된다. 대학에서도 이전에는 인기 없던 환경학과나 폐기물 처리학과, 기상학과 등에 갈수록 많은 지원자가 몰려들고, 이러한 현상이 중·고등학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독일 연방 환경연합회는 교육전문 언론들과 연계해서 관련 직업들을 알리고 학교에 직업교육을 위한 환경과목 신설을 권장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는 등 대외홍보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학교수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단체는 그린피스다. 그린피스는 자체 개발한 환경과목의 시험문제와 수업방법, 도표분석, 역할극, 단체토론, 거리인터뷰, 수치 계산법 등과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황들을 주제별로 정리해서 교사들에게 배포, 수업에 적극 활용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독일에서 환경수업을 필수과목으로 만들자는 주장은 비단 관련 직업의 증가에 따른 요구 때문만은 아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기상이변과 대기오염, 방사능 피해 등에 대한 문제의식을 키워왔으며, 수많은 연구와 토론, 공청회를 통해 사회적인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직업으로써의 흥미도 증가했다. 환경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움직임도 이러한 차원에서 당연한 결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