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미래를 설계한다고 배웠어요. 그런데 역사를 접할 기회가 부족한 것 같아요. 배울 기회가 없었는데 갑자기 질문해서 답을 못한다고 모든 학생들의 잘못처럼 뉴스나 어른들이 혼내니까 좀 억울해요. 수능에 역사시험이 필수가 되는 것도 좋고 우리학교처럼 학교 환경이 자연스럽게 역사공부에 관심 갖도록 유도해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서울고 김준영 학생)
서울고(교장 장천)의 역사교육은 특별하다!
방학을 하루 앞둔 17일 1학년 학생들이 1학기 마지막 역사수업을 진행했다. 송두록 (도덕·윤리) 부장교사는 준비한 영상을 보며 북한체제의 특수성을 가르치고 교정으로 나와 학교 역사관과 6·25참전비, 자유민주주의 수호 탑에서 전쟁으로 희생된 선배들에게 경례, 마지막으로 3·1정신을 새긴 삼일탑을 찾아 묵념으로 수업을 마쳤다.
송 교사는 “역사공부는 틀에 박아놓고 주입시키는 것 보다 학생 스스로 역사에 관심 갖고 찾아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인지 서울고 교정에는 학생들의 발길이 많이 지나는 곳에 역사적 기념비들이 세워져 있다.
3·1 운동 정신을 이어가고 6·25 전쟁 당시 457 명이 학도병으로 참전해 33명이 전사한 서울고. 나라를 사랑하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 숭고한 희생정신의 이름들이 오늘도 학교 본관 옆에 자리하고 있다. 학교 전체가 역사교과서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