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교원정책에서 교원평가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고, 정책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미교사자격평가협의회(National Council on Teacher Quality)는 지난 1월 2014년도 ‘교사정책연간보고서(Teacher Policy Year Book)’를 발간하면서 이 같은 분석을 했다.
미국은 각 주정부가 권한을 갖고 정책을 수립한다. 각 주마다 인구의 특성과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연방정부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큰 정책을 위주로 세우고, 주정부에서 각 주의 특성에 적합한 대부분의 정책을 세운다. 정책의 상세한 부분이 주 별로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각 주의 정책을 단순비교하거나 분석하기는 매우 어렵다. 교원정책도 마찬가지다.
전미교사자격평가협의회에서는 이렇게 서로 다른 각 주의 교원정책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2007년부터 매년 교사정책연간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해마다 각 주 별로 교사교육, 자격, 교사평가, 그리고 보상 시스템 등을 조사하고 모든 주의 정책을 다각도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이 자료를 기초로 각 주에 교원 질 향상을 위한 적합한 제언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고서가 처음 나올 2007년 당시만 해도 많은 주에서 교사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 학생의 학업성취에 따른 교사의 종신재직(tenure)과 해고 결정, 예비 교사를 선발 기준 강화 등 주요 난제들을 정책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올해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각 주에 적합한 교사정책을 제언하는 일이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케이트 월리쉬 전미교사자격평가협의회 회장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많은 주의 교사정책성과 등급이 향상이 된 만큼 각 주에 적합한 교사정책을 통해 교사의 효과성을 이끌어내는 것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의 교사정책성과 등급은 크게 다섯 가지 영역의 정책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해 전반적인 점수를 부여한다. 예비교사정책 평가는 두 영역에서 이뤄지는데 얼마나 잘 준비된 교사를 유입시키는지, 얼마나 많은 교사를 증원하는지를 평가한다. 현직교사정책은 우수교사 판별, 교사의 전문성 신장, 그리고 부적격 교사에 대한 합리적 퇴출 등 세 가지 영역에서 평가가 이뤄진다.
올 1월에 나온 2014년도 보고서의 결과에 따르면 2년 전과 비교해 50개의 주와 콜롬비아 특별자치구 중 11개의 주에서 교사정책성과 등급이 올라갔고, 5년 전과 비교해서는 37개 주의 등급이 향상됐다.
향상된 분야는 대부분 교사 평가와 교사의 효과성에 관련된 정책들에 집중돼 있다. 전반적인 교사정책성과 평가 결과, 플로리다 주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몬태나 주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런 결과를 볼 때 교사평가와 관련된 정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현재 28개주에서 모든 교사를 대상으로 매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사평가에서 학생의 학업성취를 크게 고려하는 주가 늘었다. 5년 전에는 4개주, 2년 전에는 17개주에서 교사평가 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학생의 학업성취를 꼽았고, 올해에는 더 증가한 35개의 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포함시켰다.
2009년 보고서에서는 교사의 종신재직을 결정할 때 실적을 고려하는 주가 단 한 곳도 없었다. 그러나 올해의 보고서에서는 20개의 주에서 교사의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를 토대로 종신재직 자격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에 따라 교직을 떠나게 하는 방침도 2009년 13개의 주와 비교해 현재는 29개의 주에서 사용하고 있다.
보고서는 또 전반적으로 교사정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각 주별로 교사 입직 기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교사자격 부여 조건도 강화되는 등 교사정책이 교사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향상돼야 할 부분들이 많다는 지적도 포함돼 있다. 보고서는 특히 신규 교사들에게 충분한 준비를 시킨 후 학교현장에 갈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여러 면에서 미약하다고 평가했다.
아직 대부분의 주에서는 보통 성적이나 시험을 통해 교사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주는데, 그 기준이 너무 낮다는 것이다.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에서 가르치는 내용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이를 구분해 초·중등 교사를 각기 선발하는 주는 6개주에 지나지 않는다는 문제도 지적됐다.
물론 이 보고서 자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몇몇 주에서는 전미교사자격평가협의회의 평가 기준이 너무 높고, 때로는 권한과 능력 밖의 조언을 제시한다는 불만을 토로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