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도 비교한 향상도 저조하니 성격 다른 내신성적 끌어다 비교 입시성과 과장, 일반고 폄하까지
서울시교육청이 혁신학교의 학력저하를 입증하는 학업성취도 통계를 두고도 “혁신학교가 학업성취에 부정적이라는 주장은 편파적인 억측”이라고 발표해 교육감 정책성과를 무리하게 과대포장 했다는 빈축을 사고 있다.
시교육청은 20일 연세대에서 혁신고와 일반고 간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서울형 혁신고 운영성과 설명회’를 열어 이 같은 주장을 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A일반고와 B, C혁신고의 2013학년도 신입생 중학교 내신성적 최하위 비율은 각각 15.1%, 27.4%, 23.1%였고, 1년 후 학업성취도 평가 기초미달 비율은 각각 17%, 26.7%, 14.9%였다. 이를 두고 시교육청은 A일반고는 학업성취도 기초미달 학생 비율이 늘고, B, C혁신고는 기초미달 학생 비율이 줄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교육청이 제시한 통계 어디에도 학업성취도 기초 미달 학생이 줄었다는 근거는 없다. 내신성적 최하위 학생 비율이 학업성취도 기초미달 학생 비율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두 가지 성적에서 각 집단을 나누는 기준도 다를 뿐 아니라 점수를 내는 평가과정도 다르다. 전혀 다른 성격의 두 가지 수치를 놓고 줄었다, 늘었다는 주장을 한 것이다.
시교육청은 전혀 다른 두 통계치 간의 차이를 두고 그 중 한 수치가 줄어든 증거라고 억지를 부려놓고 이를 근거로 “혁신학교의 학업성취도 하락은 신입생들의 성적차이에 기인한 착시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사실 시교육청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이번 억측의 배경으로 들기도 한 선발효과를 제거하고 해당 학생들의 중학교 시절의 성취도 결과와 고교 성취도 결과를 비교한 통계치는 이미 따로 존재한다. 바로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학교향상도’다.
시교육청이 기초미달 학생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주장한 B, C혁신고의 향상도는 각각 -5.8, -2.1이다. 향상도가 양수(+)이면 성취도 향상을, 음수(-)이면 성취도 하락을 의미한다. 즉 두 혁신고 모두 학력이 저하된 것이다.
향상도 수치가 혁신학교에 불리하자 굳이 타당하지 않은 무리한 비교를 하면서 유리한 수치를 만들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성과 발표 중 향상도 비교를 위해 C여고와 D자사여고가 언급됐다. 그러나 10개 서울형 혁신고 중 향상도가 올라간 곳은 C여고를 포함한 단 두 곳이다. 특히 C여고는 ‘서울 3학군’으로 꼽히는 지역에 위치한 학교로 혁신학교 지정 이전에도 성적이 우수했다. 반면 D자사여고는 24개 자사고 중 향상도가 18위다. 혁신학교 중에서는 향상도가 우수한 학교를, 자사고 중에서는 향상도가 낮은 학교를 꼽아 비교한 것이다. 전체 서울 혁신고 향상도 평균은 -3, 자사고의 향상도 평균은 0.9다.
시교육청은 심지어 입시결과를 일반고와 비교하며 혁신학교의 대학 진학률이 더 높았다고 혁신학교를 추켜세웠다. 그러나 구체적인 학교나 전공은 배제한 채 단순히 서울시내 4년제 대학에 5% 더 진학했다는 기준으로 두 학교를 비교해 우수한 진학성과라고 주장한 것이어서 이 역시 타당성이 부족한 주장이다.
교총은 이 같은 과장 발표에 대해 “대조적 자료가 있음에도 혁신학교에 유리한 자료를 자신들의 구미에 맞게 해석해 학력 향상의 성과가 있다고 강조한 것”이라며 “서울시내 모든 유·초·중·고를 관할하는 시교육청이 일반고보다 혁신학교가 좋은 학교라고 홍보하는 것은 모든 학교를 책임질 본분을 망각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1억이 넘는 별도 재원이 투입되는 혁신학교에 차별받는 일반학교의 상대적 박탈감을 도외시한 채 미미한 성과만 부풀려 호도하는 태도는 우려스럽다”며 “혁신학교 홍보에 매달리기보다는 모든 학교 살리기에 집중하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