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라면 자식에게 불량식품을 먹일 수 있을까? 당연히 건강에 좋은 영양식을 먹이려고 애쓴다. 학교 교육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지금 교육 현장에서는 정반대의 일이 벌어지고 있다. 역사 교과서뿐만 아니라 사회 교과서 그리고 EBS 방송 교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교재가 편향 일변도로 치닫고 있어 학생들의 영혼을 오염시키고 있다.
도서관 파고든 편향 도서들
지난 5월 19일 시민단체 '청년지식인 포럼 Story K'(대표 이종철)가 기자회견을 열어 비전향 장기수의 일대기를 다룬 ‘나는 공산주의자다’라는 책이 추천된 사실을 폭로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가 각 시·도교육청에 추천 도서 선정 기준과 방법을 공개하라고 요구했고, 경기도교육청은 문제가 된 책의 추천을 철회하려 했다. 그러자 일부 도서관 사서들이 “도서관의 자율성과 독서의 자유를 침해하는 부당 검열”이라고 반발해 취하된 바 있다. 소속 공무원이 반발한다는 이유로 시민 단체의 합법적인 이의 제기를 묵살한 것이다.
이어 ‘정부 기관이 압력을 행사해 해당 도서를 서가에서 뺐다’는 유언비어가 확산됐지만 정부나 교육부 측에선 이런 유언비어에 대해 어떤 해명조차 내놓지 않았다. 그러니 반론 보도가 있을 리 만무했으며, 도서를 폭로한 시민 단체만 ‘불온도서를 지정하는 나쁜 단체’라는 누명을 쓰게 됐다. ‘무관심한 정부’, ‘정치적인 일부 사서 교사’, ‘언론의 조작 보도’라는 삼각 담합이 낳은 결과물이었다.
이뿐일까? 교과 수업에서의 활용 목적으로 정치편향의 교사들이 세운 모 출판사의 책이 수십 권씩 대량 구매되기도 했다. 학교도서관에 지금까지 쌓여 온 장서만 해도 1억 5천만여 권이다. 이 가운데 포함된 왜곡, 편향도서에 대한 정리가 중요한 시점이었음에도 정부는 일부 도서만 수거했을 뿐 그 밖의 도서들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
더욱 충격이었던 것은 일부 사서 교사들이 ‘바람직한 독서 문화를 위한 시민연대’라는 간판을 내 걸고 9월 첫 주 전국 공공·학교 도서관 등에서 ‘금서(禁書) 읽기’ 캠페인을 벌였다는 것이다. ‘독서의 자유를 침해하지 말라’는 구호를 내걸었지만 실상은 사서 교사의 입맛대로 책을 추천할 자유를 침해하지 말라는 주장일 뿐이었다. ‘어떤 책이든 읽을 수 있는 권리’는 누구에게나 있지만 ‘책을 추천할 권리’는 아무에게도 없는데 말이다.
교육당국, 더는 눈감지 말라
학교도서관진흥법 시행령 제8조 제1항에 따르면 학교도서관에 갖춰야 하는 시설 및 자료의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감이 정하게 돼 있다. 따라서 교육감이 의지만 있다면 왜곡 편향 도서들에 대한 사후검토를 얼마든지 할 수 있다. 하지만 교육감은 그럴 마음이 전혀 없는 것 같다. 학생들이 어떤 책을 읽고 있는 지는 아랑곳하지 않고 ‘독서 문화 진흥’이라는 요란한 구호 아래 전시 행정 일변도다. 결국 올바른 국가관이나 자유시장경제의 장점을 쉽고 재미있게 가르치는 양서는 마치 금서와 다름이 없을 정도로 보기 힘들어졌다.
가풍이 무너진 학교에서는 눈앞의 성적과 입시만이 전부가 된다. 학생들의 인성은 점점 더 거칠어지고 사회적 갈등은 더욱 커져만 간다. 방법은 하나 뿐, 학부모들 역시 자녀들이 편향되지 않은 좋은 책을 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부모와 교사가 먼저 책을 읽고 좋은 책들이 자연스럽게 학교 도서관을 차지할 수 있게 유도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간 쌓여 온 왜곡 편향 도서들은 폐기될 수 있다. 부모의 마음으로 학생들을 바라보며 모두가 반성하자. 독을 먹어 왔던 학생들에게 검증된 영양식을 먹여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