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재범 씨가 쓴 ‘책으로 변한 내 인생’이라는 책을 감명 깊게 읽었다. 책으로 인해 인생이 변할 수 있다고 한다. 그동안 학생들에게 훌륭한 사람이 되려면 책을 많이 읽으라는 말을 수없이 했는데 책을 통해 인생이 바뀌는 소중한 경험을 해본 아이들은 몇이나 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미국에 비하면 초보적 수준 그쳐
책을 읽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사고를 하게 된다. 굳이 쓰지 않아도 저절로 이뤄진다. 사고한다는 것은 내 생각과 다른 이의 생각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고 무언가 깨닫거나 얻는 것이 있다는 뜻이다. 이는 지식의 양이 늘어나는 것뿐 아니라 성격, 행동, 사고방식을 결정짓고 특히 성장기 학생들에게는 인격 형성에 영향을 준다.
우리는 자기가 아는 대로 생각하고 생각한 바를 글과 말, 행동으로 표현한다. 아는 게 없으면 글은 물론 말로 표현하기도 어렵다. 그릇된 생각을 하는 사람은 그릇된 말과 행동으로 표현하고, 제대로 된 생각을 가진다면 제대로 할 것이다. 그런데 요즘 사람들은 글보다 너무 단편적인 이미지와 영상에만 길들어 있다. 글자와는 점점 거리가 멀어지고 계속해서 편한 것만 좇고 쉬운 것에만 의존하다 보면 결국 수동형 인간이 되지 않을까 염려된다.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길러 인간다운 삶을 살도록 먼저 태어난 사람들이 교육을 통해 도움을 줘야 한다. 특히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이 책을 가까이하고 자연스럽게 독서 습관을 갖도록 도와야 한다.
최근 우리나라 고교생들 상당수가 미국 명문대 입시에서 영어보다 ‘에세이’ 때문에 중도 탈락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입학률이 늘었다고 하지만 어린 시절부터 독서와 글쓰기 교육을 꾸준히 한다면 더 좋은 효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미국은 초·중등 교육뿐만 아니라 고등 교육에서도 독서와 글쓰기 교육을 강조한다. 우리나라의 글쓰기 교육은 그에 비하면 초보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글쓰기 교육은 학생들의 올바른 인성과 생활태도를 가꾸고 주체적, 창의적인 삶을 살도록 유도하는 일이다.
즉, 학생들은 글쓰기를 통해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형성하며 자신의 행동을 반성함으로써 바른 삶의 태도를 가질 수 있다. 학생들에게 평소 독서 습관화 교육과 함께 다양한 글쓰기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어른부터 책 읽기 습관 모범을
우리는 지금 세계화, 지식화, 정보화로 대표되는 문명의 전환기에 살고 있다. 어린이들이 이런 시대 흐름에 맞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심신을 단련하고 적응해 나가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논어에 ‘그림을 그리는 일은 흰 종이를 마련한 뒤에 가능하다’는 말이 나온다. 이는 사람은 인성을 갖춰야 다른 일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우리 학생들이 바른 인성을 다지려면 꾸준한 독서와 글쓰기 활동이 다른 어떤 교육활동보다 우선시돼야 한다. 또 학교와 지역사회의 노력, 가정의 적극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특히 어른이 먼저 실천하는 모습도 보여줘야 한다. 아이들은 의식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주변에서 보고 들은 행동을 따라 하기 마련이다. 텔레비전을 시청하거나 휴대전화를 보면서 "공부해"라고 말하지 말고 "공부해라, 나는 책을 읽을 테니"라고 말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우리 아이들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함께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