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지필평가 없이 수행평가로만 성적을 산출 할 수 있도록 한데 대해 교육현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창의적 인재를 기르기 위해서라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지금도 평가 갈등을 겪고 있는 교원들에게는 지극히 낭만적인 탁상행정일 뿐이다. 이 같은 정서는 교총 설문조사 결과, 중등교원의 61%가 반대한 사실에서도 고스란히 묻어났다. 암기 중심의 박제된 지식을 가르치는 현재의 평가 방식으로는 글로벌 경쟁에 뒤쳐질 수밖에 없다는 교육 당국의 절박한 심정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관행처럼 굳어진 주입식 교육의 핵심인 지필평가부터 과감히 탈피해 평가 시스템 자체에 변화를 주겠다는 의도 또한 일리가 있다.
하지만 상급학교 진학이 걸린 교과 성적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교육현장의 실상을 감안할 때, 수행평가에 대한 객관적 기준 마련도 없이 밀어붙이기식으로 확대하는 것은 혼란과 갈등만 초래할 뿐이다. 현재도 수행평가는 점수에 민감한 학생들의 민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본점수를 높게 주고 성적 차이는 최소화하는 등 기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무엇보다 교권 추락으로 갈수록 설자리가 좁아지는 교사들의 입장에서는 수행평가 확대가 큰 부담이다.
당연히 주관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수행평가의 성격상 민원을 제기하는 학생과 학부모들로 인해 정상적인 교육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개연성이 크다.
나아가 교사와 학교 자체에 대한 불신의 골이 더 깊어져 학생 교육을 위한 협력관계마저 무너질 수 있다.
치열한 글로벌 경쟁시대를 헤쳐 나가기 위해 창의적 인재 양성이 시대적 과제이자 소명이라는 점은 동의하지만 밀어붙이기식은 절대 안 된다. 수능 등 입시제도를 개선하고 객관적 평가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