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들, 입찰·수금·민원 등 부담 학부모 “늦게 받고 품질도 나빠” 교복업체 “학교 자율에 맞겨야”
도입 2년차를 맞은 교복 학교주관구매제도에 대한 교원, 학생, 학부모, 교복업체의 원성이 그치지 않고 있다.
교원들은 학교가 입찰, 구매를 주관하다보니 교육기관이 아니라 ‘교복 대행업체’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교복주관구매 업무 외에도 교복 품질에 대한 민원 처리는 물론 교복 추가구입 등 잡다한 일까지 떠맡아 더 불만이다. 더욱이 학교는 어디까지나 ‘대행’ 입장이기 때문에 직접 해결해줄 수 없는 만큼 이런 업무를 처리하려면 업체에 물어보거나 다시 만나 논의해야 하는 등 시간이 두 배로 들어 정작 교육은 뒷전이 되고 있다.
교복담당을 맡고 있는 서울 A중 교사는 “민원이 들어오면 경우에 따라 교복업체를 불러 다시 이야기해야 하고, 이를 학부모에게 전해야 하는 등 시간 낭비가 많다”며 “보통 때면 괜찮은데 학기말, 신학기 등 가장 바쁜 때에 민원이 들어오면 수업에 집중하지 못해 아이들에게 미안할 뿐”이라고 하소연했다.
또 서울 B중 교장은 “학기말 추진위원회 구성부터 업체 선정, 교복비 수금, 민원까지 처리하느라 교직원들 업무가 크게 가중됐다”면서 “예전에도 학교가 공동구매를 주관하긴 했지만 그 때는 학부모들이 맡았기에 교직원 부담은 없었다”고 털어놨다.
이어 “학부모들이 민원을 제기하는 것은 그렇다 쳐도 업체가 원래 학생 수와 맞지 않는다고 항의할 땐 회의감마저 든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가격 자체도 별로 저렴하지 않다는 지적을 제기한다.
서울 C중 교장은 “우리 학교는 주관구매제 이전에도 공동구매를 했는데 그 때나 지금이나 15만원 선으로 거의 비슷하다”며 “일찍 받지도 못하는데 품질이나 낱개 판매 등이 어려워 민원은 늘어가고 있어 ‘꼭 해야 하나’ 생각이 든다”고 토로했다.
학생, 학부모도 불만이다. 일부 저소득층 학부모의 경우 이전 개별 구매 때는 카드 결제를 통해 할부결제가 가능했으나, 학교주관구매제 이후에는 현금 일시불로 한 번에 학교에 내는 것이 부담스럽다고 지적한다.
납품 지연은 여전해 부산시내 13개 중·고교 신입생들은 신학기가 시작되고 나서도 한동안 사복 차림으로 등교했다. 지나친 가격 경쟁에 따라 품질 저하도 속출하고 있는 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경남 지역 학부모단체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2월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마다 널뛰기 하는 교복 가격과 질 나쁜 교복 문제를 거론하고 나섰다.
납품이 늦어지는 문제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2월 “교복은 5~6월 하복부터 입는 것으로 인정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교복이라는 것이 입학식 때부터 입어야 하는 데다 원래 이 제도가 학부모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을 감안하면 2개월 간 사복을 허용하는 자체가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다. 교복업체들도 “혼란스럽긴 우리도 마찬가지”라고 호소한다.
한국교복협회는 “학교가 주관구매 선택 여부를 자율로 결정하고, 이 제도를 선택한 학교에 대해서는 교육당국이 제대로 감독해 문제가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