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조금동두천 14.9℃
  • 맑음강릉 16.3℃
  • 맑음서울 13.2℃
  • 구름조금대전 14.8℃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4.0℃
  • 맑음광주 14.0℃
  • 맑음부산 16.2℃
  • 맑음고창 11.9℃
  • 맑음제주 15.3℃
  • 맑음강화 12.0℃
  • 구름많음보은 12.8℃
  • 구름많음금산 13.4℃
  • 맑음강진군 14.9℃
  • 구름조금경주시 15.2℃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실창가에서> 선생님, 방학 있어 좋겠네요?

“부장님, 오전까지 처리할 공문이 있는데…몇 시까지 출근하실 수 있나요?”

아침 8시 30분. 교무행정사로부터 다급한 전화가 걸려왔다. 며칠째 몸이 안 좋아 병원진료 예약을 취소하고 학교로 향했다.

학기보다 방학이 더 바쁜 학교현장

사실 이번 여름방학에는 건강에 이상 신호가 온 것 같아 우선 치유에 신경 써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틈틈이 수업 관련 연수를 들으며 새 학기를 준비하려고 했다. 그런데 마음처럼 잘 지켜지지 않는 상황이다.

학교에 도착했더니 주차장은 방학 전과 다름없이 주차된 차로 빼곡했다. 방학 중인데도 많은 선생님이 학교에 출근한 것이었다. 교무실은 평소처럼 선생님과 학생들로 시끌벅적하기까지 했다.

선생님과 학생들은 방학에 그다지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 같다. 무더위에 아랑곳하지 않고 학생들은 아침부터 방과 후 수업과 오후 자율학습까지 향학열(向學熱)을 불태우고 있다. 교사들은 하계 방학 연수 받으랴 1학기 마무리 작업(학교생활기록부 작업)하랴 쉴 틈이 없다.

기말고사 이후 학교가 마련했던 여러 가지 경시대회(독후감, 영어, 수학, 자기소개서쓰기 대회, UCC 대회, 아름다운 세상 만들기 프로젝트대회, 인형극발표대회 등)도 마무리 작업에 한창이다. 방학 전에 끝난 대회도 있지만 일부 대회는 준비 기간이 짧아 방학 이후까지 연장된 상태였다. 교사들은 방학도 잊은 채 경시대회 심사에 나서고 있었다.

교무실에서는 학교 특색교육 중 하나인 ‘아름다운 세상 만들기 프로젝트’ 발표를 앞두고 사회과 모든 선생님이 회의 중이었다. 교실에는 대회 참여를 신청한 학생들이 발표를 앞두고 연습에 한창이었다.

특히 9월 초 수시모집을 앞둔 3학년 교무실은 그 어느 때보다 분주했다. 고3 담임들은 아직 대학과 학과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들과 진학 관련 자료들을 꺼내놓고 아침 일찍부터 저녁 늦게까지 진학상담에 열을 올리고 있었다. 한 동료교사는 요즘처럼 하루가 짧게 느껴진 적이 없다며 멋쩍은 미소를 지어 보이기까지 했다.

멀티미디어실은 자기소개서 작성에 고민하는 고3 아이들로 진지했다. 요란하게 두드리는 컴퓨터 자판 소리가 아이들의 소리 없는 아우성을 대변하는 듯했다. 심지어 어떤 아이는 글이 잘 되지 않는 듯 한참을 모니터만 바라보기도 했다. 학종시대를 맞아 학교생활기록부 내용의 초점이 교내 활동에 맞춰지는 만큼 아이들은 방학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단면이다.

학생 위해 땀 흘리는 교사들께 박수를

문득 오늘 아침 출근길에 만난 한 지인의 말이 떠올랐다.

“선생님은 좋으시겠어요. 방학이 있잖아요?”

“아~네. 글쎄∼요….”

어색한 미소로 답변을 대신했지만 속내는 편치 않았다. 아마 그 지인은 내가 말끝을 흐린 진짜 이유를 모를 것 같다. 학기만큼 치열한 학교, 교사의 모습도 상상하지 못할 것이다. 방학은 ‘정지’의 개념이 아니다. 방학 때문에 교사라는 직업이 부럽다는 인식은 잘못이다. 부러움을 넘어 비난의 안주거리로 삼는 일은 더더욱 옳지 않다.

지금 이 순간에도 무더위와 맞서 싸우며 학생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선생님들께 힘내시라 박수를 보내고 싶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