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여름방학 호주와 뉴질랜드를 여행할 기회가 있었다. 우리 일행은 교사 단체이기 때문에 학교 방문을 필수로 넣었다. 선진국의 교육실정은 이론에서 많이 배울 수도 있지만 직접 가서 본 것은 평생 잊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아주 부러웠던 수업장면을 소개하고자 한다.
뉴질랜드 소도시의 한 초등학교를 방문하였을 때의 일이다. 우리는 9시 정각에 도착했기 때문에 1교시 수업을 엿볼 수 있었다. 그 학교(뿐 아니라 다른 선진국은)는 교과서가 없는 학교였다. 교육부에서 나온 교육과정을 지침으로 교사가 교재를 만들고 재구성하여 쓴다고 하였다.
그 학교는 한국인 학생도 많이 있어서 삼삼오오 조를 짜서 한국인 학생의 안내를 받으며 전 학급을 돌아볼 수 있었다. 어느 중학년 교실을 보니 교사가 두 명 나란히 앉아 있었고, 교실 중앙에는 사이클 선수가 복장을 갖춰 입고 경기용 자전거를 보여주며 강의를 하고 있었다. 안내하는 학생의 말을 들으니 한분은 담임이고 한분은 보조교사란다.
아! 보조교사, 우리(평교사)가 그토록 원하고 꿈꾸어 오던 낱말. 우리 평교사들은 너무나 바쁘다. 주당 시간이 많이 줄어들었다고는 하나 초등학교의 교사들은 주당 평균 25시간씩 수업을 한다. 채점이나 과제물 검사를 할 때는 보조교사가 있었으면 한다.
어느 세월에 이 소원이 이루어질지 모르지만 보조교사의 손길이 너무나도 아쉽다. 이유는 학생들에게 밀도 높은 시간을 주고자 함이다. 평교사의 하루 일과는 학급일과 업무가 겹쳐 하루가 금방 지나간다. 게다가 특기·적성 지도나 개인 연구를 하다 보면 몸과 마음은 쉽게 지치고 만다.
시간이 얼마나 부족한지 한 예를 들어보자. 어떤 저학년 선생님은 날마다 일기검사를 하기가 벅차 1주에 2번 내지 3번만 쓰라고 했단다. 도저히 검사할 짬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초등학교의 저학년은 일기도 학습(국어)의 연장이기 때문에 검사가 지극히도 중요한 것이다.
틀린 글자 수정해주고 일기 형식에 맞게 손대 주고 하다보면, 아침에 걷어놓은 일기장을 집에 돌아갈 때까지 읽어보지도 못하고 도장만 꽝꽝 찍어 나누어줄 때가 많기 때문에 꼼꼼히 검사하여 주려고 쓰는 횟수를 줄였다는 것이다.
일기야 말로 개인의 역사이고 날마다 써야하는 가장 기본적인 생활지도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담임은 빨간 글씨로 격려와 칭찬과 함께 날마다 답 글을 써주고 있다. 학생들은 선생님의 검사 흔적을 보면서 남몰래 미소 짓기도 하고 얼굴을 붉히기도 하면서 선생님과의 대화를 소중히 간직하는 것이다.
저학년(초등학교 1~2학년) 선생님들은 일기 잘 쓴 학생을 높이 평가하고 동료들에게도 자랑하기도 한다. 그래서 보조교사가 있다면 담임교사가 충분한 시간을 내어 생활지도를 겸한 개별지도를 훨씬 더 잘 할 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