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한 단어를 사람마다 각기 다르게 발음한다면 통일된 언어생활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통일된 언어생활을 위해서는 표준어의 발음과 관련된 규정이 필요합니다. 동일 언어 공동체 안에서 지역적, 사회적 차이를 초월하여 널리 공통되는 발음은 표준적인 발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표준어가 국민의 언어 현상을 통일하려는 목적 하에 제정되는 것처럼, 표준 발음은 언중(言衆), 곧 국민의 언어 행위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규범화된 발음이라고 정의(定義)합니다. ‘표준발음법’은 바로 이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한국의 표준 발음이란 표준어의 발음을 말하는데, 표준어가 현재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서울말이라 했으니, 표준발음법도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의 발음인 표준발음으로 말하는 것입니다.
표준발음은 효율적인 의사소통에 필수적입니다. 우리는 문자로서 언어생활을 하기도 하지만, 일차적으로 입으로 발음하고 귀로 듣는 소리말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표준발음을 해서 상대방이 쉽고 빨리 알아듣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표준발음은 지역감정을 극복하여 국민 화합을 이룩하는 지름길입니다. 우리나라는 정치, 경제 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 중에 하나가 지역감정입니다. 이 지역감정은 결국 방언의 사용이 주범입니다. 따라서 방언의 난립은 단순히 의사 소통의 장애 요소가 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단합을 저해합니다. 또한 앞에서도 이야기한 것처럼 표준 발음은 교양인이 되는 첫째 조건이 됩니다.
우리는 글을 쓸 때 맞춤법이 틀리면 매우 부끄럽게 생각하면서도 말을 할 때 표준 발음을 정확히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별로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글을 쓸 때 맞춤법이 바르지 않은 것이나, 발음할 때 표준발음을 하지 못하는 것은 똑같은 상황입니다. 마찬가지로 외국어를 공부할 때는 사전을 찾아가면서 발음을 공부하면서, 우리말은 아무렇게나 말하고도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다면 모국어를 사용하는 올바른 자세가 아닙니다.
사실 외국어는 철자법과 발음이 다른 것이 많지만, 우리는 철자법과 발음이 거의 동일합니다. 그래서인지 조선어 학회(한글 학회)의 표준어 사정(1936년)에서도 발음 규칙을 정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이러한 영향으로 우리는 국어 교육 시간에 발음 교육을 소홀히 했고, 뒤늦게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국어는 각 모음이나 자음들의 정확한 음가와 발음 방법을 익히기만 하면 올바른 발음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말은 음과 음의 결합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이 규칙적이어서 발음을 바르게 하는 것은 매우 쉬운 문제입니다.
앞으로의 사회는 정보화 시대로 정보 취득 수단이 인쇄 매체보다 방송 매체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할 것입니다. 따라서 앞으로의 우리 사회는 과거보다 표준발음의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학교에서도 표준발음 교육을 철저히 해야 할 시기가 온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