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이나 지금이나 사람이 사는 곳마다 조직이 있고, 그 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질서가 있게 마련이다. 질서가 무너지면 사회적으로 혼란이 오고 치러야 할 비용이 커진다.
좋은 실례로, 지난 19일 새벽 경기도 연천군 최전방 GP(전방감시초소)에서 장병 8명을 살해한 김동민(22) 일병은 평소 선임병들에게서 잦은 질책과 욕설 등 ‘언어폭력’을 당한 데 앙심을 품고 계획적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군대의 지위체계의 위기는 군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한 단면으로 생각할 수 있고, 사회 곳곳에서 이러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권위란 바로 조직의 질서를 지키기 위한 도덕적 정당성을 지닌 다스림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권위는 개인이 아니라, 전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나라나 특정 조직을 운영하는 입장에선 일정한 권위가 보장돼야 효율적으로 다스릴 수 있다. 국정 운영에서 대통령의 권위가 서지 않으면 나라 전체의 비용이 늘어난다. 가정에서 부모의 권위가 없으면 자식의 가르침에 말보다는 회초리를 들어야 하고, 학교에서 교사의 권위가 서지 않으면 가르침 자체가 무의미함은 물론, 교사의 무용론까지 대두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경찰의 권위가 없으면 교통 위반 딱지를 뗄 때마다 말싸움하느라 시간이 낭비된다.
그러나, 권위가 특정한 사람에게 집중돼 비판이 허용되지 않으면 권위주의가 된다. 권위주의적 사고는 자신의 위치를 지키거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오직 힘으로 누르려 들고, 비이성적인 게 특징이다. 그들에겐 군림과 복종만 있을 뿐이며, 비판하면 기존의 질서를 파괴하려는 것으로 여겨 완강히 거부한다. 하지만 정당한 권위마저 받아들이지 않으면 문제다. 행정관청을 포함해 사회 이익집단들이 매사에 권위를 부정한다면 사회 존립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한번 무너진 권위는 다시 세우기 어렵다.
교사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우수한 인재를 교직에 유치하고 교사들이 가르치는 일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교사들을 권익을 옹호하는 분위기를 만들 필요가 있다. 또 교사들에게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 기회를 제공하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교사의 권위는 교사의 전문성과 가르치는 일에 대한 헌신성을 바탕으로 회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교사들이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도록 하려면 교단에서 존경을 받고 교단을 꿋꿋이 지키려고 하는 건강한 교직풍토를 조성하는 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