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한때 절약교육을 강력히 추진했던 기억이 난다. 공책의 표지 뒷면에 줄을 그어 썼고 위 아래여백에도 줄을 그어 빼곡히 글씨를 쓰게 하면서 자원을 절약하는 교육을 했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시골 서당에서 종이가 없어 나뭇잎에다 붓글씨를 겹쳐서 썼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연필도 다 쓰고 몽당연필이 되면 볼펜대에 깎지를 끼워서 쓰며 절약을 실천하였다.
아직도 자린고비의 정신을 몸소 실천하는 분을 선정하여 상을 주는 자치단체도 있다고 한다. 우리는 보통 돈이나 물자를 흔하게 쓴다는 표현으로 “물 쓰듯 한다.” 라고 한다. 이는 물이 흔한 우리나라에서나 있는 이야기이다. 물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세수한 물을 그냥 버리지 않고 몇 번을 더 사용한다고 하니 우리처럼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 물자절약을 실천하지 않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 아닌가 생각한다.
아파트의 쓰레기 수집함에는 아직 쓸 만한 물건들이 마구 버려지는 것을 볼 때 새것만 선호하고 절약정신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나만의 느낌만은 아닐 것이다. 물론 재활용이 되는 것들도 많이 있겠지만 더 쓸 수 있는 물건들이 버려질 때는 안타까울 때가 많다.
자가용도 3년 정도면 바꾸어 중고차시장에는 서있는 차가 넘쳐나는 것도 새것만 선호하는 데서 나타나는 현상 같다. 가정이나 사무실의 가구도 주인이 바뀌면 새것으로 교체하는 문제와 옷도 멀쩡한 것들이 헌옷수거함으로 버려지는 등 오래 쓸 수 있는 물건들이 1회용으로 쓰여 진다면 낭비가 너무 심하지 않은가하는 생각이다.
가전제품을 비롯한 헌 물건을 파는 중고센터가 운영되어 재활용이 되는 것은 정말 다행한 일이다. 겉치레에 치중하면서 내실을 기하지 않는 잘못된 풍습은 고쳐나가야 한다. 미래의 후손들을 생각해서라도 자원을 아껴 쓰고 절약하는 검소한 생활을 해야 한다.
학교에서도 각종 행사 뒤에 분실물이 많이 나오는데 주인을 찾아 주려면 찾아가지 않는다. 어린이들이 자기물건에 대한 애착이 적은 것만 보아도 절약교육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자기가 사용하는 모자, 장갑, 옷, 가방, 신발 등에도 애착심이 없는 아이들이 많은 것은 부모나 선생님들에게 일부분의 책임이 있다고 본다.
살아가다보면 어떤 재난을 당할 수도 있고 물자가 부족했을 때의 난관을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지혜를 익혀두어야 하지 않을까? 자녀들이 새것을 요구한다고 해서 모두 충족시켜주는 것이 자식을 사랑하는 것으로 아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어려웠을 때를 대비하는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사치와 낭비의 잘못된 생활습관이 들지 않도록 검소하고 자원을 절약하는 생활습관을 어려서부터 부모나 어른들이 본보기를 보이는 것이 절실한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