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이란 무엇일까? 우리나라의 역사나 문화, 음악 등을 이해하고 경험과 사고의 밑바탕에 항상 깔려있던 것을 언제 어디서나 활용하며 아끼고 사랑하고 내면의 즐거움과 기쁨을 느낀다면 그것도 애국이 아닐까?
오늘 우리 청소년 국악 관현악단 정기 연주회와 우리 국악배움터정기 발표회가 있어서 우리 반 마지막 모범 조 이벤트 행사로 6명의 어린이들과 함께 노원문화 예술회관으로 갔다. 공연 30분전인데도 불구하고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입구를 가득 메우고 있었다.
우리 청소년 국악 관현악단은 초, 중, 고 학생 13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우리 국악배움터 출연자는 모두 79명에 달하였다.
과거 코미디 계를 주름잡았던 김병조 님의 사회로 진행되었는데 오랜만에 들어보는 구수한 그의 입담이 국악과 매우 잘 어울렸다. 더구나 그의 국악에 대한 해박한 지식에 놀랐는데 알고 보니 국악 관계 방송 프로그램에 30년간 종사해 오고 있었다.
오늘 행사의 제 1부는 우리 청소년 국악 관현악단 정기연주회로 정악합주, 아쟁산조. 관현악으로 나누어 연주를 하였는데 어린 초등학생들이 어려운 국악기들을 매우 잘 다루고 있었다. 함께 공연을 관람했던 개구쟁이 몇 명을 포함한 우리 반 모범 조 어린이 6명도 매우 조용히 관람하여 안심이 되었다. 그동안 잘 접하지 못하였던 국악이라서 떠들며 지루해 할까 봐 사실 걱정을 많이 하였는데 참으로 다행이었다. 그만큼 오늘 공연은 다양한 국악기가 모두 다른 소리를 내지만 그 묘한 화음의 절묘함이 국악의 진솔한 맛에 빠지도록 만들었다. 산도깨비, 소금장수 전래동요는 초등학교의 음악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곡인데 아이들이 매우 즐겨 부르는 곡으로 구수한 민담 내용과 친근한 가락 진행이 잘 어울린다. 이 곡을 우리국악배움터의 판소리 반 어린이 10여명이 나와서 목청을 돋우어 관현악에 맞추어 노래를 하는데 매우 자연스러웠다. 1부 마지막 순서로 서울에 있는 초등교사로 구성된 풍물교육연구회, ‘훈장패’의 협연도 있었다. 1악장 ‘풍장’, 2악장 ‘기원’, 3악장,‘놀이’로써 어깨가 들썩거릴 정도로 신바람 나는 연주를 하였는데 바쁜 가운데 어느 틈에 연습하였는지 부드러움과 강인함을 드나드는 그 손놀림이 예사롭지 않았다.
제 2부는 우리국악배움터 정기 발표회였는데 웃다리 사물놀이에 쓰이는 장구장단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앉은 반 장구놀이, 25현 가야금을 위한 가야금 산조, 대금산조, 음악적인 다양성과 세련미가 있는 피리산조, 인간의 심장고동소리와 비슷한 북놀이, 경기민요의 맛을 살린 아리랑, 도라지 타령, 태평가 등의 민요합주, 활기차고 율동적인 가락의 뱃노래, 자진뱃노래, 수많은 세월을 통해 학습하고 다져 온 깊고 넓은 호흡으로 한데 어루러지는 사물놀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1, 2부에 걸친 공연을 관람하며 우리 음악의 멋이 얼마나 풍부한 지 다시 한 번 깨달았다.
아이들을 태우고 집으로 데려다 주면서, “오늘 공연 어떠했니? ”라고 물으니,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 같았어요.”, “참 신이 났어요.”, “아이들이 노래를 참 잘하고 악기를 잘 연주했어요.”, “또 보고 싶어요.” 등의 반응이 나오는 것을 보니 오늘 공연에 데려온 것이 일단 성공이다.
7차 교육과정에 있어 음악교과의 50%가까이가 우리 음악이다. 이는 아마도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 우리 국악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학교에서는 지난 해 ‘국악 풀 강사제도’를 실시하였다. 국악 전문강사들이 음악교과서의 국악 부분을 직접 내교하여 아이들에게 가르친다. 아이들은 이 시간을 무척 기다리며 흥미 있게 국악을 배우고 있으니 바람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국악을 통하여 아이들이 우리 음악을 더욱 사랑하고 발전시키며 한국인임을 더욱 자랑스럽게 여기고 자긍심을 갖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