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교감 역할 3년차이다. 2001년도에 '증(證)'을 받았으니 교감자격증 취득은 6년차이다. 혹자는 말할 것이다. "이만하면 여유 좀 부리고 느긋하게 교감직 수행해도 되겠다"라고.
그러나 그게 아니다. 처음엔 의욕만 앞서서 허둥지둥대느라 바빴고, 그 다음엔 무얼 좀 알고 제대로 하느라고, 이제는 교장을 보좌하고 선생님들 도와드리려는데 마음만 앞서지 행동은 굼뜨다. 원래는 연륜이 쌓일수록 세련되고 여유만만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게 돌아가지 않는다. 해를 거듭할수록 일거리가 많아지고 바쁘기만 하다.
즐거움도 있다. 아니 많다. 새 학교에 부임한지 3개월. 교문, 창가, 운동장, 복도, 교실 등 교정 곳곳에서 인사하는 학생들이 많다. 출근하여 주차하여 문 열면, 2층과 3층 창가에서 1학년 학생들이 인사를 한다. 마치 교감을 기다렸다는 듯이. 3학년 어느 학생은 운동장을 돌아보는 나에게 체육시간임에도 양팔로 크게 하트 모양을 그리며 "교감 선생님, 안녕하세요?"하고 목소리도 크게 인사를 한다. 수업시간 복도를 지나칠 때면 교실에서 수업에 방해가 되는 줄도 모르고 인사를 하는 학생이 있다.
교감이 무슨 그렇게 대단한 존재는 아니다. 그들은 자기가 교감을 안다는 것을 자랑하려고 그렇게 표시하는 것이다. 학생들이 귀엽고 기특하고 고맙기만 하다. 선생님들도 마찬가지다. 교무실과 복도에서 교감과 마주치면 그냥 지나치지 않는다. 꼭 가벼운 목례를 한다. 좁은 교무실 문을 출입하다 마주치면 먼저 가라고 양보를 한다. 나도 양보를 한다. 참, 즐거운 풍경이다.
오늘, 키 크고 멋지게 생긴 남학생이 앞치마를 두르고 계단을 오르내린다.
"학생, 오늘 무슨 요리 실습하나요?"
"……"
아무 대답이 없이 그냥 지나친다. 대개 선생님이 물어 보면 대답하는 것이 보통인데…. '어? 이상하다. 저 학생 혹시 기분 나쁜 일이 있었나?'
교감 자리에 놓인 부침개와 수박! 해답은 나왔다. 그러고 보니 특수학급 학생들이 요리를 한 것이다. 그러니까 교감 물음에 그냥 지나친 학생, 이상한 것이 아니라 괘씸한 것이 아니라 그 학생으로서는 지극히 '정상'인 것이다. 다만, 교감은 그 학생을 제대로 알아 보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 학생에 맞는 질문과 행동으로 다가가지 못한 교감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다.
호박과 고추, 오징어를 넣은 따끈한 부침개 한 조각과 먹기 좋게 손잡이까지 만든 수박 5조각, 그리고 젓가락 4족. 시각은 오전 11시. 마침 배가 출출하던 차이다. 사실, 나는 간식을 잘 안 먹는 체질이다. 하루 세 끼 식사가 고작이다. 그러나 이렇게 정성이 가득 담긴 음식, 외면할 수 없다. 교무실에 있는, 수업이 없는 선생님들과 함께 맛있게 나누어 먹었다. 그야말로 꿀맛이다.
오후에 담당 선생님께 감사 인사를 하였다.
"선생님, 부침개 정말 잘 먹었어요. 그런데 요리 실력을 보니까 아무래도 학생들 실력이 아닌 것 같아요?"
"교감 선생님, 그것 학생들이 만든 거예요."
야, 그렇다면 놀라운 발견이고 발전이다. 보통 학생들도 요리 실습하고 가져온 음식을 보면 학생들 수준이 그대로 드러나 있어 보기에도 그러하고 맛도 역시 그래 맛 한번 보고 물리치기 일쑤인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오늘은 그게 아닌 것이다.
그밖에 디카 찍는 즐거움. 교정을 돌아보면 소재가 널려 있다. 각종 꽃을 비롯한 자연의 변화 모습, 학생들 공부하는 모습, 자유로운 학교생활 모습, 학생들이 교정에 남긴 흔적, 학생들에게 관심을 쏟는 선생님들의 모습 등. 교장선생님도 늘 취재 대상이다. 교감보다 한 발 앞선 교육정보와 이웃학교 이야기 그리고 세상의 흐름을 꿰뚫는 혜안.
공개수업 때 교실을 방문하여 사방을 둘러보면 디카 소재가 여러 개 눈에 띈다. 수업장면도 그러하거니와 교실 환경 자체가, 학생들의 모습이 바로 촬영 대상이 되고 작품감이다. 멋진 수업 장면을 촬영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탑재하여 놓으니 선생님도 고마워 한다.
누군가 말했다. 인생도처유청산(人生到處有靑山)이라고. 머무는 곳이 어디든 청산은 있고 마음먹기에 따라 그 곳이 바로 낙원이 된다는 말이다. 교감 역할, 갈수록 힘들다. 그렇지만 그 속에 즐거움도 있다. 그것 때문에 괴로움을 잊고 지내는 것인지도 모른다.
우리 학교 왜 즐거운 직장일까 생각하여 보았다. 바로 상경하애(上敬下愛) 정신이 아닐까? 혹시, 사회의 냉냉한 바람으로 또는 학교 내부의 어려움으로 심적 고통을 겪는 선생님들 있으면 '인생도처유청산(人生到處有靑山)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