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과 함께 국악 관련 수업을 하다보면 우리 민족이 오랜 세월동안 사용해 온 언어건만 왠지 낯설고 가르치는 나 자신부터 자연스럽지 못한 부분을 발견한다. 이론부분을 지도할 때는 조금 덜 하지만 가창이나 악기지도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은 리포터 뿐만은 아닐 것이다.
리포터는 교육 대학원에서 음악교육학과, 그 중 초등음악을 전공하였는데 국악교수님이 한 분이셔서 국악 부분을 초등 교사들과 중, 고등학교 교사들이 함께 공부하였다. 수업시간에 국악교육에 관한 소논문을 발표하였는데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 제목들이 있다. 그것은 ‘우리는 여기에, 국악은 저기에’, ‘가야할 길, 그러나 머나먼 길’ 등인데 당시 일선 교사들의 국악교육에 대한 체감온도를 단번에 알 수 있었다.
국악보다는 서양 음악이 더 몸에 배어 있는 것은 아무래도 모태 신앙이다 보니 어릴 적부터 교회 음악이 몸에 배어, 자라면서 교회성가대나 반주자로, 대학 때는 대구 모 합창단에서, 또 초등 3학년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고 교사리코더 합주단이나 교사 현악중주단에서도 몇 년간 활동하였다. 관심분야가 그러하다보니 음악에 관한 세미나나 연수 등도 모두 서양 음악이다. 그렇다고 국악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다. 될 수 있으면 국악을 많이 접하려고 노력한다.
방학을 맞이하여 고향 경주를 찾았는데 오늘 국악에 흠뻑 취할 수 있는 참으로 좋은 기회가 있었다. 바로 2004년부터 4월부터 10월까지 경주문화원이 주최하고 다연 소리청이 주관, 문화관광부, 경상북도, 경주시가 후원하는 매 주말 저녁 다채로운 문화예술 공연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안압지 국악 상설 공연장을 가게 된 것이다. 낮보다 야경이 더 멋있는 신라유적 안압지에서 한여름 더위를 국악의 그윽한 향기로 식히려는 시민들과 국내외 관광객들이 야외 공연장을 가득 메웠다.
서라벌의 숨결이란 서무로 시작된 공연에 이어 가야금 병창으로 제비노정기, 신라고도가, 고고천변의 순서가 있었는데 12대의 가야금이 소리를 똑같이 맞추어 창을 하는 것이 매우 신기 하였다. 다음으로 김 진미님의 태평소와 사물놀이는 느리고 빠르기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며 어우러진 한마당이었는데 사물놀이만 들을 때와는 그 느낌이 사뭇 달랐다. 다음으로 ‘우륵의 향기’란 제목의 군무에서는 유명한 최 정임 무용단이 다채로운 옷을 입고 주제가 있는 전통무용을 선보였고 조갑용 사물놀이 광개토의 전통 악기의 반주에 맞춰 정 경옥 님 외 12명이 웅장한 신라의 향가 ‘찬기파랑가’를 불러 장내를 시원하게 해주었다. 뿐만 아니라 고수 정 성룡 님의 북소리에 맞춘 판소리 심청가, 모든 청중이 익히 알고 있는 민요 등 국악의 각 장르가 총 망라된 공연이었다.
주변을 둘러보니 유모차를 탄 어린 아이들로부터 휠체어를 탄 장애인, 할아버지와 할머니에 이르기까지 청중의 연령층도 다양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것은 흥겨움과 애틋함이 우리 정서에 맞기에 그런 것이 아닐까? 국악공연이 모두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는데 무대에서 펼쳐진 화려한 공연이 끊임없이 뇌리에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