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부 들어 교육계는 쑥대밭이 됐다. 교직경험이 풍부한 5만여 명의 교원들이 무능하다는 누명을 쓰고 교단을 떠나야 했다. 더욱이 교원정년을 일시에 단축하면서 부정적인 이미지로 여론몰이를 해대 天職이었던 교직이 하루아침에 賤職의 나락으로 굴러 떨어졌다.
교원들의 사기는 땅에 떨어지고 교실 붕괴를 우려하는 상황이 초래됐건만 현 정부는 겉으로는 '유감스럽다'며 사과하는 듯한 발언을 하면서도 간헐적으로 '교단에 새바람이 불게 됐다'는 묘한 속내를 보여 교원들의 심사를 뒤집곤 했다.
40여 년전 군사정부는 1년만에 교원정년 단축 정책을 포기해 갖가지 부작용을 수습했건만 현 정부는 오기와 오만으로 교육계의 원상 회복 요구를 외면했고 교원정년 논란은 정권 말기까지 지루하게 계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교육공동체는 산산조각이 났다. 일반 국민들과 학부모들은 교원들의 집단이기주의를 탓하고 교직사회 내부에서도 정년문제가 마치 관리직인 교장과 교감 등 원로교원들만의 관심사 인양 비아냥거리는 풍조가 생겨났다.
한국교총은 12월 대선을 앞두고 학교교육 살리기 범국민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교원정년 원상회복 과제는 이번 서명운동 과제 10가지 중 최고 이슈일 수밖에 없다. 서명운동 10대 과제중 대체로 일반 국민들로부터 환영을 못 받게 될 주제이므로 더욱 그렇다. 교총은 이번 서명운동의 목표
인원을 1백만 명으로 잡고 있다. 교총 소속 20만 교원이 똘똘 뭉쳐 '허리를 낮추고 국민 속으로' 뛰어들어 설득해야 가능한 숫자이다.
이래야만 정치권에게 압박을 가할 수 있다. 교원들은 더 이상 가족, 친지와 일반 국민들을 상대로 설득하고 논쟁을 벌이고픈 마음이 없을 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해서 교원들 자신이 학교교육
살리기를 포기한다면 공교육의 황폐화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교육개혁의 주체는 교원이고 교육개혁의 목표는 학생이다. 자라나는 2세 국민들을 위해 교원들이 나서야 한다. 우선 가족, 친지 등 주변부터 다시 한번 다독거리고 일반 국민들에게로 나가야 한다.
대통령 선거를 앞둔 이번 추석이기에 당연히 현정부의 교육정책이 화제로 떠오를 가능성이 많다. 이 때 교육논리를 적극 펴고 교총에서 벌이는 서명운동에 참여시키는 기회로 활용하는 등 적극성을 보여주면 정치권이 교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게 될 것이고 우리 교육은 회생의 전기를 맞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