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근무하는 학교는 경기도의 한 실업계 고등학교다. 학생 구성원들은 나름대로 소신을 갖고 기능을 연마하여 사회에서 우수한 기능인으로 사회에 진출하겠다는 결심을 갖고 입학한다. 하지만 지원하는 학생이 대부분은 가정 형편이 어렵거나 저조한 학업 성적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실업계 학교에 진학한 경우가 적지 않다.
3월이 되면, 봄 햇살처럼 밝은 얼굴을 만나기가 그리 쉽지 않다. 학업 성적이 저조하여 실업계에 진학했다는 자괴감 탓인지 아직도 그들의 가슴에 선명하게 금이 가 있다. 또한 가정 형편이 어려워 자신의 꿈을 한 겹 접은 채 힘겨운 생활을 하는 학생도 의외로 많다. 그러다보니 자연히 어두운 표정들을 종종 만나곤 한다.
학기초에 실업계 학생들을 대하는 선생님들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그들에게 희망을 갖게 하는 일이다. 그것은 다름아닌 학업에 대한 목표와 동기를 분명하게 세워주는 일이기도 하다. 첫 단추를 잘 끼어야 옷매무새를 바른 옷을 입을 수 있는 것처럼, 신입생 때부터 자신의 생애를 계획하고 그에 대한 꿈나무를 키워 나갈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이런 친구들에게 용기와 희망를 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은 신문이나 방송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을 소개하는 일이다. 그들에게 비전을 심어주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다. 실업계 학생들 역시 가장 큰 관심사와 고민은 뭐니뭐니 해도 학업 성적과 진로에 대한 고민이 대부분이다.
몇 년전, 영어 알파벳도 제대로 몰랐던 학생이 1년 뒤 전교 1등을 한 이야기가 신문매체와 방송 매체에 소개된 적이 있었다. 전북대 수의예과에 입학한 백승훈군이 그 주인공이다. 백군은 중학교 3학년 까지도 전체 208명 중 200등인 ‘꼴찌’였으나 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열심히 목표를 세우고 노력하여 학교 전체에서 1등을 하게 되었고 학생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오늘 아침 신문에도 "한국의 꼴찌 소녀 하버드 대학원 입학"이란 내용이 소개되었다. 그 주인공은 손에스더 씨다. 중학교 2학년 겨울방학 때인 1999년, 부모와 함께 영국으로 가기 전까지 국내 학교 성적이 중·하위권에 머무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꼴찌 소녀란 별명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손씨는 공립학교 세인트 크리스핀(St. Crispin’s)에 진학한 지 2년 반 만에 중등학교 교육과정 시험인 GCSE에서 전교 1등을 했다. 12학년 때 치른 영국 대입시험인 AS 레벨 시험에서도 6개 과목에서 A를 받는 등 그 이후에도 줄곧 1등을 놓치지 않았다. 마침내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에 장학생으로 입학하게 되었고 이번에는 하버드대 대학원 박사과정에 합격하게 된 것이다.
성적이 저조하여 고민하는 친구들에게 이 이야기는 용기를 주었다. 한 돌이란 가수가 부른 노래 "꼴찌를 위하여" 가 있다. 지금 꼴찌로 달려가고 있지만 그래도 내가 좋아하는 길을 가야 한다는 내용의 노래다. 일등을 하는 것보다 꼴찌는 무척 괴롭고 힘들다.
"지금도 달리고 있지만 꼴찌인 것을, 그래도 내가 가는 이 길은 가야 되겠지. 일등을 하는 것보다 꼴찌가 더욱 힘들다. 바쁘게 달려가는 친구들아 손잡고 같이 가보자. 보고픈 책들을 실컷 보고 밤하늘에 별님도 보고, 이 저 들판 거닐면서 내 꿈도 지키고 싶다. 가는 길 포기하지 않는다면 꼴찌도 괜찮을거야 보고픈 책들을 실컷 보고 밤하늘에 별님도 보고 이 산 저 들판 거닐면서 내 꿈도 지키고 싶다. 어설픈 일등보다는 자랑스런 꼴찌가 좋다.
언젠가 아름다운 꼴찌를 얘기한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도 있었다. 꿈을 던진 야구의 패전 투수 이야기다. 1982년 프로야구 원년. 감사용은 팀에 왼손 투수가 없다는 이유 하나로 `삼미 슈퍼스타즈`의 투수가 된다. 이름과는 달리 스타 선수 한명 없는 `미 슈퍼스타즈`는 프로야구가 개막하자마자 꼴찌팀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된다. 야구선수 감사용 역시 선발 등판 한번 하지 못하고 `패전 처리 전문 투수`로 낙인 찍히고 만다. 팀에 패색이 짙어지면 시도 때도 없이 나가는 마무리 투수가 된 것이다.
그러던 중, 감사용 선수에게도 일생일대의 기회가 찾아오게 된다. 상대는 프로야구 최강 팀 OB 베어스, 그것도 OB의 간판스타 박철순의 20연승을 눈앞에 둔 경기였다. 삼미의 투수진은 누가 봐도 질게 뻔한 경기의 등판을 서로 미루고 급기야 기회는 감사용에게 넘어온다. 생애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던 선발 등판. 딱 한번만이라도 이겨보고 싶었을 것이다. 마침내 감사용 선수는 부산 구덕야구장에서 벌어진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그토록 원했던 첫 승을 거두게 된다. 이듬해인 1983년,삼미 슈퍼스타즈는 시즌 초반부터 파란을 일으키며 전기리그 2위라는 믿기지 않는 성적으로 돌풍의 주역이 된다. 프로야구 20년 역사상 은퇴 투수는 총 758명이고 그 중 10승 이상을 거둔 투수는 126명 뿐이다. 1승 이상 거둔 투수는 431명이고 나머지 327명은 1승도 거두지 못하고 야구계를 떠났다.
실업계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큰 걸림돌은 "좌절과 절망"이 아닌가 싶다. 성취동기만 부여된다면 그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으련만, 그들에게 꿈을 심어줄 수 있는 어떤 계기가 분명 필요하다. 그것은 어쩌면 무엇인가를 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과 꿈을 심어주는 일이기에 중요하다.
내가 맡은 35명의 학생들은 지금, 2박 3일간의 수련 과정에 입소해 있다. 아침 일찍 일어나서 대자연 속에서 그 상쾌함을 맛보면서 산에 오르고 목청껏 힘찬 함성을 외치고 있다. 부디 이 산 저 들판을 거닐면서 자신만의 꿈을 키우고 밤하늘에 별도 찾아보면서 자신이 정한 그 길을 포기하지 않고 힘차게 달려갔으면 한다. 나만 생각하기보다는 어려운 친구들을 돕고, 서로 부대끼면서 사귀고, 서로 협력해서 아름다운 선을 이루었으면 싶다.
오랫동안 꿈을 그리고 채색하다 보면 마침내 그 꿈을 성취할 수도 있으리라. 피그말리온(Pygmalion)처럼 자신의 꿈을 사랑하고 그 꿈을 열정으로 조각했으면 좋겠다. 어설픈 일등보다는 자랑스런 꼴찌가 되어 좋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