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4.8℃
  • 맑음강릉 12.5℃
  • 맑음서울 8.5℃
  • 맑음대전 6.4℃
  • 맑음대구 9.9℃
  • 맑음울산 11.1℃
  • 맑음광주 7.5℃
  • 맑음부산 11.3℃
  • 맑음고창 3.0℃
  • 구름많음제주 10.9℃
  • 맑음강화 6.6℃
  • 맑음보은 1.8℃
  • 맑음금산 2.1℃
  • 맑음강진군 4.4℃
  • 맑음경주시 9.8℃
  • 맑음거제 7.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바른인성과 아이들


오랜 기간 교직에 몸담고 있으면서 시골과 도시를 번갈아 근무해 보았다. 어느 곳이 좋다기보다 차이는 분명 있었다. 그리고 그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환경에 따라 성격 형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리라는 나름대로의 생각을 해 보았다.

대체로 경제적으로 윤택하고 아파트 숲에서 생활하는 도시의 아이들은 단정하고 깔끔하며 개인주의적 성향을 띤다. 그리고 학원을 열심히 다니며 공부도 많이 하고 학력도 우수하다. 친구 관계 또한 부모들이 인위적으로 형성해 주려고 노력도 하며 좋은 책을 많이 읽고 일기도 열심히 쓰며 바른 인성과 옳은 행동을 하려고 애쓰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바쁜 일정(?)에 쫓기다 보니 친구들과 놀 시간이 부족하고 할 일이 많다. 그러다 보니 풍부한 정서 생활과 유연한 사고를 할 여유가 적을 수 있다는 우려가 된다. 몸이 바쁘면 머리가 느려져 창의력이 줄어든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그런데 시골 아이들은 문화적인 혜택이 적은 편이며 살기가 바쁘다는 핑게로 부모의 관심도가 뜸한 경우도 있다. 또 학원에서의 다양한 기능습득 기회도 많지 않다. 그러나 과외 활동이 적어 시간에 덜 쫓기니 놀 수 있는 여유가 조금은 더 있다. 그래서 그런지 사고가 자유롭고 친구들과의 관계 형성과 결속력이 좋으며 우애가 돈독하다. 학교에 오면 누가 시키지 않았는데 급식우유를 가져와 나누어 줄 줄 알고 친구 간 이해의 폭이 넓은 것을 보았다. 그래서 시골의 초등학교 동창회가 잘 이루어지는지도 모른다.

도시 아이들은 조금만 괴롭히거나 건드려도 담임에게 일러 주면서 불편해 하고 청소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거나 무관심하다. 그러나 시골 아이들은 조그만 일은 참고 견디며 그리 문제 삼지 않으며 협동하여 청소를 하고 정리정돈도 잘 한다. 최소한 본인이 보아 온 초등학교 아이들은 그러했다.

이에는 부모의 영향도 적지 않다고 본다.

학년 초 어느 날, 수업 시간에 남자 아이가 자꾸 눈을 비비는 것을 보았다. 이상해서 가까이 가 보니 눈 밑에 상처가 나 있었다. 쉬는 시간에 여자 아이가 책을 던져서 우연히 옆에 있는 그 아이의 눈 밑을 맞았다며 괜찮다고 했다. 그러나 혹시나 하는 마음에 보건실에 다녀오라 하고 던진 아이에게 주의를 주고 사과도 하게 했다. 그 날 다친 아이의 집으로 전화한다는 것을 깜빡 잊고 다음날 아침에 살펴보니 많이 나아져 있었다. 수업을 마치고 전화를 하니 학부모는 ‘우리 아이가 말썽을 많이 피우지요?’ 하면서 미안해했다. 조금 다친 것은 괜찮아지겠죠 하면서... 그 학부모께 고마운 생각이 들면서 서서히 새로운 학교에 적응을 하면서 심리적 안정을 되찾을 수 있었다.

누구에게나 그렇겠지만 아직 미성숙 단계인 초등학교 아이들은 더욱이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자라나는 새싹인 어린이들이 보호받아야 한다는 데는 의의가 없다. 하지만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 그들을 보호하는 것이고 바르게 지도하는 것인지는 생각해 볼 문제이다. 아이들의 인성은 부모나 주변 환경으로부터 이루어진다고 본다. 서로 이해하고 신뢰하는 학교와 가정에서 그들은 믿음을 배울 것이며 다른 사람을 배려할 줄 알게 된다.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인한 21세기의 지식 기반 사회를 살아가면서 조금은 참아주고 지켜보는 사회야말로 바른 인성을 함양하는 밑거름이 되는 게 아닌가 싶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