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든 다섯인 친정아버지는 오래 전부터 지병으로 당뇨와 협심증을 갖고 계셨다. 그리고 대장암 수술과 어렵다던 항암치료도 받으셨는데 규칙적인 검사를 꾸준히 하신 덕인지 완치판정을 받으셨다.
칸트를 존경한다는 아버지는 정확한 시간생활을 하셨고 담당의사 선생님으로부터 늘 칭찬을 받는다고 자랑하셨다. 그리고 허황된 명분을 쫒기보다는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판단으로 세상을 살라 하시며 ‘중단하는 자는 성공하지 못하고 성공하는 자는 중단하지 않는다.’는 말을 자주 인용하시곤 하셨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오빠에게 제문(祭文) 작성을 가르치셨고, 어머니 손을 잡고 은행에 가서 여러 가지를 일러주셨단다. 종가의 맏며느리인 어머니는 사회생활을 모르셨고 바깥일은 거의 당신 혼자서 하셨는데 하나씩 인계를 하신 것이다. 그 때 이미 아버지는 가실 날을 예견하셨는지 모른다.
그러다가 지난해 11월 말부터는 차츰 거동을 못하시더니 한 달쯤 후에는 혈당과 기력이 급격히 떨어져 가까운 노인 병원에 입원을 하시게 되었다. 병원에서는 간단한 처치를 한 후 본인이 원하는 대로 집으로 모시는 것이 좋다 하여 퇴원과 동시에 간병인과의 생활을 하게 되었다. 집에서는 매일 신생아처럼 잠만 주무시는데 주위 분들이 보시고는 그것도 일종의 신호라 하였다,
마침 방학 중이라 멀리 있는 여동생이 한참을 머물렀고 그 후 얼마간은 내가 함께 밤을 보냈다. 낮엔 물론 간병인과 어머니가 계셨지만 잠깐씩 정신이 드실 땐 그날의 날짜와 신문의 주요 기사를 말씀드리고 아버지의 마지막 말씀들을 주워들어 이를 기억에 담았다. 병원에 근무하는 여동생은 퇴근길에 매일 들렀으며 가까이 사는 남동생 네는 자주 찾아뵙고 밑반찬을 해다 날랐다. 공무원인 오빠 네도 바쁜 가운데 자주 연락을 취하였다.
지난 2월 2일, 오빠네 가족과 여동생이 내려와 있을 때 온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아버지는 조용히 눈을 감으셨다. 섣달 스무 엿새 토요일 밤에 운명하신 것이다. 무엇이 급하신지 설을 며칠 앞두고 그렇게 서둘러 가셨다. 가시는 길이 힘들고 고단하다고 들은 바와 달리 지극히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숨을 거두셨다. 세상에 태어나서 제 몫을 다하고 자연에 순응하여 가야 할 곳을 가신 거라 여기며 그나마 평안을 찾으려 애도 써 보았다. 남들은 호상이라고들 하지만 자식 된 우리는 그저 슬프기만 하였다. 지금도 생각하면 자꾸 눈물이 앞서니 언제쯤이면 잊어 질런지... 그리고 혼자되신 어머니가 안쓰러워 더욱 자주 찾아뵈어야 할 것만 같았다.
돌이켜 보건대 친정에서 얼마간 머물 수 있었고 그나마 임종을 지켜본 것으로 작은 위안을 가질 수밖에 없었지만 그 짧은 기간 많은 것을 느꼈다. 우리 모두는 사형선고를 받아놓고 살아가지만 그 때가 멀리 있다는 착각으로 많은 열정과 갈등을 겪으며 가정과 사회에 충성하니 그것이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제 언제까지 이러고만 있을 수 없다. 정신을 추스르고 몸과 마음을 다잡으며 용기를 내어서 나의 일상으로 돌아가야지. 그래서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내일의 뜨는 해를 바라보며 새로운 날들을 시작하자. 삶은 진행되어야 하니까. 아버지, 사랑하는 우리 아버지!